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1·2단계로 사업 추진
입력 : 2024. 09. 05(목) 11:00수정 : 2024. 09. 08(일) 13:05
부미현 기자 bu8385@ihalla.com
국토부 하반기부터 기본 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 착수
1단계 총사업비 5조 4532억원.. 현 공항과 역할 분담 추후 확정
제주 제2공항 조감도. 국토교통부 자료 캡처
[한라일보]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의 기본계획을 6일 고시하고, 올해 하반기에 후속절차인 기본설계와 환경영향평가에 착수한다. 기본계획 고시는 정부가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를 공식화한 것이다. 제2공항 사업이 정상 추진 쪽으로 한 걸음 더 다가선 것으로 평가되는 가운데 후속절차인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제주도의회의 동의 여부가 사업 추진의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1만㎡ 면적으로 조성되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의 기본계획을 다음날 고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는 지난해 3월 환경부로부터 전략환경영향평가 '조건부 협의' 통보 받은 뒤 1년 6개월 만이다. 지난 2015년 11월 공항 건설 계획을 처음 공개한 지 8년 10개월 만이자,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한 2018년 12월 이후 5년 9개월 만이다.

이날 국토부가 밝힌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을 보면, 제주 제2공항의 주요 시설은 활주로 (길이 3200m 폭 45m) 1본, 항공기 28대 주기가 가능한 계류장(31.1만㎡), 여객터미널(11.8만㎡), 화물터미널(0.6만㎡), 그리고 교통센터 등으로 총 사업비는 5조4532억원이다.

국토부는 사업을 1단계, 2단계로 단계별 추진할 예정인데, 1단계 사업비만 이번 기본계획에 반영했다.

제주 제2공항은 제주도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공항으로 추진된다. 여객터미널의 경우 에너지 소비량의 60~8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지하수 보존, 생물 대체 서식지 조성 등을 친환경 사업도 함께 시행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총 사업 5조45000억원을 투입,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1만㎡에 활주로(3200×45m) 1본과 항공기 28대 주기 가능한 계류장,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교통센터 등을 조성하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6일자로 고시한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제2공항 예정지. 이상국 기자
그 외에도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따른 환경 영향 저감방안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추가적인 친환경 사업을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제2공항은 연 1690만명 규모의 여객을 처리할 것으로 전망되며, 항공 수요의 증가 추이에 따라 연 1992만 명의 여객이 이용할 수 있는 2단계 확장 사업은 추후 검토한다. 2단계 사업은 유도로와 계류장,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을 증축이 될 전망이다.

건설과 운영 계획을 보면, 제2공항의 부지조성과 활주로·유도로·계류장·항행안전시설 등은 국토교통부(제주지방항공청)가 시행하고, 향후 국가 외의 사업시행자가 추가 지정될 수 있다. 여객·화물터미널, 전면시설, 주차장 등은 국토부와 관계기관이 협의를 거쳐 확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제2공항 운영자, 현재 운영 중인 제주국제공항과 제2공항 간 역할 분담 방안 및 세부 운영계획은 관계 기관 협의를 거쳐 확정된다.

이번 사업에는 추후 확장할 사업의 부지 조성까지 포함됐다. 이후의 확장 사업에는 공항개발사업 이외의 문화·상업시설과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는 민자 사업 등 다양한 추진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제주 제2공항이 개항되면 현 제주국제공항의 포화 상태 해소는 물론, 제주도를 찾는 국민과 지역 주민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항공교통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증가가 예상되는 국내·외 항공수요를 수용할 수 있게 돼 제주 지역의 관광객 증가 및 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 기본계획 고시에 이어 기본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절차에 착수한다. 환경영향평가의 경우 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와 협의를 해야 하고, 협의 내용에 대해 제주도의회의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해 지역 의견을 수렴해 관련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이상일 공항정책관은 "이번 기본계획 고시를 계기로 향후 절차를 관계법령 등 규정에 맞게 진행할 계획"이라며 "향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친환경 공항 건설을 비롯해 구체적인 건설 및 운영 방안에 대해 지역과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관련기사
제주 제2공항 갈등 재점화 "원천 무효" VS "조속 추진"
'기본계획 고시' 제주 제2공항 9년 전과 어떻게 달라졌나
'기본계획 고시' 제주자치도 "제2공항 후속절차 차질없이 준비"
1990년 신공항에서 2024년 제주 제2공항까지 추진 일지
'기본계획 고시' 제2공항 향후 절차 환경영향평가 최대 고비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8 개)
이         름
이   메   일
8205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주민투표하라 09-16 07:11삭제
환경영향평가"조건부. 공동검증하라
@ 조류 충돌
하도~표선 철새도래지 벨트.
법정보호40종 56,000여마리.조류먹이풍부
대체지로 유인불가.겨울철새 조사누락.
및 조류충돌 제주공항 대비 8배이상
까마귀20~30만 와항공기충돌.추락높다

@ 항공소음
소음 등고선 8.5km범위 표선
구좌읍 민가.해상수중소음 예방책 없다
@ 법정 보호생물
맹꽁이.두견이.저어새.갈매기.
대흥란.남방큰고래 등 법정멸종위기종
개체별 이주대책없다
@ 숨골
숨골 153곳.수산동굴 조사누락.
숨골매립으로 지하수 보호대책 없고
호우시 홍수우려.농사불가.해산물몰살
국가전문기관 부정적 의견(취소)이나,
거짓,허위조작중이다
@ 오름 10개절개 자연 훼손로 복구불능
공군기지 09-08 04:27삭제
2공항 ~~쪼개기 공사의 꼼수 ~~
1단계
ㅡ활주로, 계류장, 여객화물터미널, 교통센터 등으로.최소한 시설한후.
공군기지 전용?

● 2단계
ㅡ계류장.여객터미널.화물터미널 확장에
따른 시설비와 토지보상비
< 확장지역100%지방비>등 지방비 1조
이상 투입으로 도청(기초단체: 서귀포시청)이 부도 우려로
2단계공사포기 할 우려가 100% 있쩌.


● 도청에서 농지 강제매수는 불법이다
ㅡ매수 용도가 수익형이어서 강제 매수 불가
ㅡ예례휴양단지.토지강제 매수;
패소사례
농지 강탈 당한다 09-06 09:19삭제
도청 포졸에게 "농지강탈"에대해 고한다
ㅡ쪼개기 사업이란: 2공항 토지 매수부터
1단계
ㅡ활주로
점유토지는 국토부에서 땅 강탈하고.

● 2단계
ㅡ계류장.여객터미널.화물터미널
점유토지는 제주도청에서 강탈한다
성산 09-06 05:08삭제
2공항 고시 *대응방법*
특별법 권한으로,2공항은 취소가능하다
ㅡ환경영향평가는 '제주특별법' 제364조
제1항에 따라 제주도가 환경부의 의견과
도의회 동의 여부로 최종 판단한다

● 용암동굴.숨골.철새도래지.법정보호종.
조류와 항공기 충돌추락.도민60%부정여론
고시 2단계

ㅡ특별법 및 조례에 의한ㅡ
"환경영향평가 중점평가사업"으로 정하고
갈등 조정협의회 구성 < 전문검토기관,
지역주민, 민간단체, 전문가, 도청.의회 >

●도청이 주체가 되어 "동의,부동의,반려"
선택결정하고.의회도 동의절차에 따라
"부동의" 선택결정하면 자동 종료
ㅡ공항시설법보다,특별법이 우선원칙에
따라 2공항은 공항시설법에따라
취소된다
도민 09-05 21:39삭제
제주제2공항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제주헬스케어타운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제주 영어교육도시 추가학교
신화역사공원 코스트코
제주도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 부탁드립니다
2공은 핵전용..군사공항이다 09-05 19:28삭제
2공항 쪼개기 공사의.. 꼼수 ~~~
1단계
ㅡ활주로만 공사하여 공군 전용?
ㅡ발주청:제주지방항공청

● 2단계 ~~
ㅡ계류장.여객터미널.화물터미널은
지방비 투입으로 공사포기 할 우려가 있쩌.
ㅡ발주청:제주지방공항공사 설립.
지방비 부담ㅡ면세점 운영
ㅡ도청의견 100% 수용.확정되어
변경불가
2공은 핵전용..군사공항이다 09-05 14:05삭제
2공항은 공군 전용
f35 전투기 활주로만 시설하여 종친다
ㅡ민간은 제쥬공항에 100%전담ㅡ
2공항 철회하라 09-05 12:37삭제
2공항
기본계획 고시 *대응방법*
특별법 권한으로,2공항은 취소가능하다
ㅡ환경영향평가는 '제주특별법' 제364조
제1항에 따라 제주도가 환경부의 의견과
도의회 동의 여부로 최종 판단한다

● 용암동굴.숨골.철새도래지.법정보호종.
조류와 항공기 충돌추락.도민60%부정여론
ㅡ항목별 개별 소송진행
ㅡ특별법 및 조례에 의한ㅡ
"환경영향평가 중점평가사업"으로 정하고
갈등 조정협의회 구성 < 전문검토기관,
지역주민, 민간단체, 전문가, 도청.의회 >
ㅡ주민투표 실시

●도청이 주체가 되어 "동의,부동의,반려"
선택결정하고.의회도 동의절차에 따라
"부동의" 선택결정하면 자동 종료
ㅡ공항시설법보다,특별법이 우선원칙에
따라 2공항은 공항시설법에따라
자동취소된다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