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愛주소in·그린첵'... 외국·외래어 뒤섞인 정책명
입력 : 2025. 10. 09(목) 09:13수정 : 2025. 10. 09(목) 17:19
박소정 기자 cosorong@ihalla.com
가가
[오늘은 579돌 한글날]
공공언어인 도·산하기관 보도자료 속 정책명 외국·외래어 범벅
순화어 발굴·조례에도 혼용·외국글자만 표기 등 현장에선 여전
연구원 "인권문제와 직결 쉬운 우리말 사용을"… 도 "개선 노력"
공공언어인 도·산하기관 보도자료 속 정책명 외국·외래어 범벅
순화어 발굴·조례에도 혼용·외국글자만 표기 등 현장에선 여전
연구원 "인권문제와 직결 쉬운 우리말 사용을"… 도 "개선 노력"

외국·외래어가 뒤섞인 보도자료 갈무리.
[한라일보] '제주愛주소in'.
최근 제주특별자치도가 인구감소 문제의 대응책으로 발표한 도내 거주자의 주민등록 전입과 도외 거주자의 이주 장려를 위한 제주 주소갖기 캠페인의 표어이다. 한글 단어 '제주'와 '주소' 사이사이에 사랑을 뜻하는 한자 '愛(애)'와 '…안에'를 뜻하는 영어 단어 'in(인)'을 혼용해 만들어진 표어인데, 제주도는 "제주를 사랑하는 사람(人), 제주에서 살아가는(in), 제주에 있어요(제주어 '인~')라는 의미를 담아 도내외 모두에게 제주 거주의 가치를 알린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정책명을 접한 도민 강모(45)씨는 "좋은 취지인 것 같은데, 이름만 보고서는 캠페인의 내용을 가늠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고아웃 슈퍼하이킹 in 제주'와 '트레블 인사이트 제주'.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가 지난달 진행한 행사명들이다. 하나는 제주 아웃도어 문화 확산을 목표로, 다른 하나는 관광 분야에서의 데이터 활용법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는데, 두 행사명 모두 한글과 여러 외국어·외래어를 조합해 지어졌다.
지난 9월 한달간 제주도와 도 산하·유관기관이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내놓은 보도자료에 사용된 표현들이다. 공공기관이 정책을 홍보하는 보도자료는 기안문, 안내문, 보고서, 법령, 판례문 등과 함께 공공언어에 포함된다. 공공언어는 '공공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공공언어 사용은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에 따라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 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 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해야 한다'고 돼있지만 그 개선은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정책에 대한 도민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로 정책을 알려야 할 도내 공공기관이 공공언어인 보도자료에 외국어와 외래어, 한글과 외국문자의 혼용이 자주 나타나고 외국글자만으로 표기하거나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여전히 반복되고 있어서다. 공공기관에서 직접 이름 붙인 각종 사업명, 행사명, 기관명, 표어 등 보도자료 속 정책명을 더 들여다보면 이러한 부분들이 두드러진다.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제주', '오늘도 그린첵!', '걷GO! 줍GO! 플로깅 캠페인', 'IoT 혁신 인재', '스토리 콘서트 On Air, peace', '청소년 DREAM프로젝트夢(몽)', '금토금토 새연쇼, Again 워터밤 개최!', '해외진출 프로그램 Immersion week in VIETNAM 운영' 등이 그 예이다.
제주도는 지난 2021년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와 협업해 도 산하 공공기관 누리집을 대상으로 공공언어 실태조사를 실시해 264개 순화어를 발굴하고, 국어 발전과 보존을 위한 조례도 마련했지만 현장에선 제대로 쓰여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4년 제정된 '제주도 국어 진흥 조례'에는 도지사가 5년 마다 국어 발전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돼 있고, 국어 발전과 보전에 관한 사항을 자문하거나 심의하기 위해 도지사 소속 제주도 국어진흥위원회를 둔다고 명시돼 있지만 여전히 이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각급 기관에 국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한 업무를 총괄할 국어책임관을 지정하도록 했지만 일부 기관만 제외하고는 활성화 되지 않는 모습이다.
장정민 제주대 국어문화원 책임연구원은 "공공언어는 불특정 다수인 국민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정책 자체가 그 대상이 국민이고 이런 정책의 수혜를 얻지 못하면 그것은 곧 복지와 인권의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정책명 같은 경우에는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졌기 때문에 쉽게 바꿀 수 있는게 아니지만 일부 지자체나 교육청에서는 내부적으로 한글로 정책명을 바꾸는 사업이나 운동을 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공공언어 교육을 할 때 가능하면 정책명을 만들 때부터 쉬운 용어를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제주어와 함께 공공언어에 대해서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공언어 개선과 관련해 매년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1500건 정도의 평가용 대안어를 제시하는 목록을 받으면 실국이나 사업소에 전파해서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며 "제주어 보전과 더불어 공공언어 개선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최근 제주특별자치도가 인구감소 문제의 대응책으로 발표한 도내 거주자의 주민등록 전입과 도외 거주자의 이주 장려를 위한 제주 주소갖기 캠페인의 표어이다. 한글 단어 '제주'와 '주소' 사이사이에 사랑을 뜻하는 한자 '愛(애)'와 '…안에'를 뜻하는 영어 단어 'in(인)'을 혼용해 만들어진 표어인데, 제주도는 "제주를 사랑하는 사람(人), 제주에서 살아가는(in), 제주에 있어요(제주어 '인~')라는 의미를 담아 도내외 모두에게 제주 거주의 가치를 알린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정책명을 접한 도민 강모(45)씨는 "좋은 취지인 것 같은데, 이름만 보고서는 캠페인의 내용을 가늠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지난 9월 한달간 제주도와 도 산하·유관기관이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내놓은 보도자료에 사용된 표현들이다. 공공기관이 정책을 홍보하는 보도자료는 기안문, 안내문, 보고서, 법령, 판례문 등과 함께 공공언어에 포함된다. 공공언어는 '공공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공공언어 사용은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에 따라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 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 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해야 한다'고 돼있지만 그 개선은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정책에 대한 도민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로 정책을 알려야 할 도내 공공기관이 공공언어인 보도자료에 외국어와 외래어, 한글과 외국문자의 혼용이 자주 나타나고 외국글자만으로 표기하거나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여전히 반복되고 있어서다. 공공기관에서 직접 이름 붙인 각종 사업명, 행사명, 기관명, 표어 등 보도자료 속 정책명을 더 들여다보면 이러한 부분들이 두드러진다.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제주', '오늘도 그린첵!', '걷GO! 줍GO! 플로깅 캠페인', 'IoT 혁신 인재', '스토리 콘서트 On Air, peace', '청소년 DREAM프로젝트夢(몽)', '금토금토 새연쇼, Again 워터밤 개최!', '해외진출 프로그램 Immersion week in VIETNAM 운영' 등이 그 예이다.
제주도는 지난 2021년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와 협업해 도 산하 공공기관 누리집을 대상으로 공공언어 실태조사를 실시해 264개 순화어를 발굴하고, 국어 발전과 보존을 위한 조례도 마련했지만 현장에선 제대로 쓰여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4년 제정된 '제주도 국어 진흥 조례'에는 도지사가 5년 마다 국어 발전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돼 있고, 국어 발전과 보전에 관한 사항을 자문하거나 심의하기 위해 도지사 소속 제주도 국어진흥위원회를 둔다고 명시돼 있지만 여전히 이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각급 기관에 국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한 업무를 총괄할 국어책임관을 지정하도록 했지만 일부 기관만 제외하고는 활성화 되지 않는 모습이다.
장정민 제주대 국어문화원 책임연구원은 "공공언어는 불특정 다수인 국민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정책 자체가 그 대상이 국민이고 이런 정책의 수혜를 얻지 못하면 그것은 곧 복지와 인권의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정책명 같은 경우에는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졌기 때문에 쉽게 바꿀 수 있는게 아니지만 일부 지자체나 교육청에서는 내부적으로 한글로 정책명을 바꾸는 사업이나 운동을 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공공언어 교육을 할 때 가능하면 정책명을 만들 때부터 쉬운 용어를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제주어와 함께 공공언어에 대해서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공언어 개선과 관련해 매년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1500건 정도의 평가용 대안어를 제시하는 목록을 받으면 실국이나 사업소에 전파해서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며 "제주어 보전과 더불어 공공언어 개선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