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앞둔 5000만원 예금 해지”… 보이스피싱 막은 경찰
입력 : 2025. 09. 02(화) 15:05수정 : 2025. 09. 03(수) 20:14
양유리 기자 glassy38@ihalla.com
가가
은행, 목돈 현금 인출에 보이스피싱 의심 신고
경찰, “딸 전세자금 보탤 것” 사유에 피싱 직감
검사 사칭 조직 지시 따라 5000만원 현금 인출
“의심 전화·문자 시 타인 휴대전화 이용 신고”
경찰, “딸 전세자금 보탤 것” 사유에 피싱 직감
검사 사칭 조직 지시 따라 5000만원 현금 인출
“의심 전화·문자 시 타인 휴대전화 이용 신고”

지난달 27일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사건을 막은 제주동부경찰서 형사 8팀 소속 서보성 경장(아래에서 오른쪽)과 김연희 순경(아래에서 왼쪽)과 형사들.
[한라일보] 정부가 최근 성행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을 위해 종합 대책을 마련한 가운데 제주에서 경찰이 시민의 자택까지 찾아가 끈질기게 설득한 끝에 5000만원 상당의 사기 피해를 막은 소식이 전해졌다.
제주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고객이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다”는 한 은행 직원의 신고가 접수됐다.
당시 은행에서는 50대 후반 A씨가 만기를 1~2달 앞둔 5000만원짜리 예금을 해지하고 현금 인출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이스피싱을 의심한 직원이 캐묻자 A씨는 “딸이 두달 뒤 결혼해서 전세자금으로 보태려고 한다”며 은행원을 재촉했다.
자녀의 결혼자금 등을 목적으로 목돈을 인출하는 사례는 보이스피싱의 대표적인 수법이다. 하지만 A씨의 경우 실제로 자녀가 결혼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은행원은 일단 현금을 인출해 준 뒤 경찰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동부경찰서 소속 서보성 경장과 김연희 순경은 즉시 해당 은행을 방문했으나 A씨는 이미 떠난 뒤였다. 경찰은 의심을 거두지 않고 A씨의 자택을 찾아가 보이스피싱 유형과 사례를 설명한 뒤, A씨가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다고 설득했다.
A씨는 검사를 사칭한 조직원이 “당신 명의로 개설된 통장이 범죄에 사용돼 재산 검수를 해야 한다”라고 지시하자 현금 5000만원을 인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A씨는 다음날 현금을 전달하기 위해 조직원과 약속을 잡았으나 경찰의 설득 끝에 보이스피싱 사례임을 인지해 금전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찰은 “휴대전화에 원격제어 앱을 설치해 돈을 요구하고, 수사기관과의 통화까지 가로채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발생하고 있다”며 “수사·금융기관은 절대 돈을 요구하지 않는다.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았을 때는 원격 조종 방지를 위해 다른 사람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수사기관에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28일 범정부 보이스피싱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연중무휴 24시간 가동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 구축 ▷범죄 이용 전화번호 10분 이내 긴급 차단 ▷이동통신사와 금융기관 관리·배상 책임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제주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고객이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다”는 한 은행 직원의 신고가 접수됐다.
자녀의 결혼자금 등을 목적으로 목돈을 인출하는 사례는 보이스피싱의 대표적인 수법이다. 하지만 A씨의 경우 실제로 자녀가 결혼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은행원은 일단 현금을 인출해 준 뒤 경찰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동부경찰서 소속 서보성 경장과 김연희 순경은 즉시 해당 은행을 방문했으나 A씨는 이미 떠난 뒤였다. 경찰은 의심을 거두지 않고 A씨의 자택을 찾아가 보이스피싱 유형과 사례를 설명한 뒤, A씨가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다고 설득했다.
A씨는 검사를 사칭한 조직원이 “당신 명의로 개설된 통장이 범죄에 사용돼 재산 검수를 해야 한다”라고 지시하자 현금 5000만원을 인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A씨는 다음날 현금을 전달하기 위해 조직원과 약속을 잡았으나 경찰의 설득 끝에 보이스피싱 사례임을 인지해 금전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찰은 “휴대전화에 원격제어 앱을 설치해 돈을 요구하고, 수사기관과의 통화까지 가로채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발생하고 있다”며 “수사·금융기관은 절대 돈을 요구하지 않는다.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았을 때는 원격 조종 방지를 위해 다른 사람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수사기관에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28일 범정부 보이스피싱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연중무휴 24시간 가동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 구축 ▷범죄 이용 전화번호 10분 이내 긴급 차단 ▷이동통신사와 금융기관 관리·배상 책임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