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제 실시 80주년 계기 기념일 제정하자"
입력 : 2025. 10. 13(월) 17:02수정 : 2025. 10. 13(월) 17:08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강문규 작가, 기념사업 조례 등 도에 건의
"1946년 도제 실시 의미·가치 전승 필요"
도세 열세 이유 50년대 도제 폐지 위기도
2016년 8월 1일 제주시 관덕정 야외 무대에서 열린 '도제 실시 70주년 특별자치도 출범 10주년 기념식'에서 도립무용단이 축하공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라일보] 2026년 제주도제(道制) 실시 80주년을 계기로 '제주도제 실시(승격)일'을 제정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매년 8월 1일에 맞춰 도제 실시 기념사업을 벌이면서 그 의미를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면서다.

한라일보 편집국장과 논설실장을 지낸 언론인 출신 강문규 작가는 이런 내용이 담긴 '제주도제 실시(승격) 기념에 관한 건의서'를 최근 제주도에 제출했다고 13일 밝혔다. 강 작가는 도제 실시 40주년이던 1986년 제주도 기관지인 '제주도'의 편집원을 맡아 별책 부록으로 제작된 '사진으로 본 도정 40년' 등을 기획·편집했던 이력이 있다.

이번 건의서에서 강 작가는 미군정기 당시 김홍석 등 지역 유지들로 구성된 '도제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제주의 미래를 위한 돌파구로 도제 실시의 염원을 성사시켰다"며 "이는 조선시대 이후 전라권의 부속 도서 또는 하위 행정구역이라는 굴레를 벗어던지고 대한민국 광역도시의 하나인 제주도로 당당히 거듭나는 대성과를 획득한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1946년 도제 실시의 의미와 가치는 그 어떤 기념일보다 크다"며 "그것은 제주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간직해야 할 정체성의 근원이며, 도민의 삶과 문화를 지탱하는 자양분"이라고 강조했다.

2006년 펴낸 '제주도지' 등에 따르면 도제 실시 이후인 1950년대 두 차례에 걸쳐 폐지론이 불거진 적도 있다. 1956년에는 면적의 협소, 인구의 과소 등 도세의 열세를 이유로 자유당 정부의 행정기구 간소화, 예산 절감 시책과 결부해 폐지론이 제기됐다. 이때 제주도민들은 도제가 폐지되면 제주 지방의 민주 발전 저해, 건설 산업 중단, 문화 활동 침체 등을 초래한다며 반대추진위원회를 꾸려 시위단을 서울에 파견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1958년에도 제주도를 전남에 예속시키는 안이 논의됐으나 도민들의 반대 운동 등으로 철회됐다.

강 작가는 향후 도제 실시일이 제정되면 평년, 5년, 10년 단위로 행사 규모를 차별화해 기념사업을 치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도제 실시를 성취한 선각자를 기리는 기념비나 공원 조성 등을 장단기 사업으로 추진하자는 의견을 덧붙였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89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정치/행정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