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불 없는' 제주들불축제 놓고 논쟁 과열 [2023 행감]
입력 : 2023. 10. 24(화) 16:49수정 : 2023. 10. 25(수) 16:18
이태윤기자 lty9456@ihalla.com
도의회 농수축경제위 행감 강평 및 감사종료 선언 자리서도 논쟁
고태민 의원 "도민 의견 무시하냐" vs 강 시장 "최대한 존중한 결정"
[한라일보] 제주시가 내년도 제주들불축제를 개최하지 않고, 향후에도 '들불 없는 들불축제'로 축제를 진행하기로 한 것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해당 논쟁은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강연호)가 24일 개최한 제주도 행정사무감사 강평 및 감사종료 선언 자리에서도 계속됐다.

이날 의원들은 내년도 들불축제를 개최하지 않는것에 대해 대한민국 대표축제로 발돋움한 축제에 대한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지만 강병삼 제주시장은 시민의견을 최대한 존중한 결정이었다면서도 내년도 들불축제는 '개최하지 않는다'는 확고한 입장을 피력했다.

이 자리에서 고태민 의원(국민의힘, 제주시 애월읍갑)은 강 시장에게 "원탁회의 결과 들불축제를 존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50% 이상이었고, 대안도 들불축제를 유지하는 게 30% 이상 다수 의견이었지만 원탁회의 결과를 수용하지 않고 운영위의 권고안을 수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 의원은 "원탁회의 결과만 수용해야 하는데 시장은 다른 안을 받아들였다"면서 "우선적으로 원탁회의 결과를 받아서 수용을 하고 그 다음에 들불툭제를 시장님께서 안 하시단면 권한 있는 사람한테 설명을 해야한다. 도지사 지시사항을 어기면서까지 정책 권고안을 받아들이는 것은 시장의 권한을 월권한 것이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강 시장은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짧게 답했다.

이에 고 의원은 "의견차이가 아니라 조례에도 명시가 돼 있다. 숙의형 정책개발위원회 조례는 우선적으로 각계 각층의 합의를 위한 지역사회의 기능이 무엇이나면 화합 및 발전 방안 도정의 중요 정책상에 발전 방향, 도정 현안 과제 쟁점 사항 등 해소 방안이 의결이 된 다음 결정이 되면 도지사는 숙의형 정책 개발에 의한 도출된 결과를 최대한 존중하도록 제4조의 도지사의 의무로 못 박고 있는 것이다"면서 "이럼에도 불구하고 들불축제 존치를 폐지 쪽으로 바꿔서 결과를 도출해 도민 의견은 무시해도 되겠냐"고 따졌다.

이에 강 시장은 "최대한 존중하고자 노력했다"고 단답했다.

박호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일도2동)도 "시장의 (들불축제 결정과 관련한)취지는 알고 있지만 여차하면 굉장히 지금 심각한 기로에 서 있다"면서 "내후년에는 계속하리라 믿고 있지만 시장이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내후년에 이를 받는 시장의 입장은 굉장히 부담스러울 것이다"고 우려했다.

강충룡 의원(국민의힘, 서귀포시 송산·효돈·영천동)은 "다툼의 여지가 굉장히 많다"면서 "시장은 들불축제를 더 큰 축제로 살리고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사랑받는 축제로 키우고 싶은데 의원들은 시장이 임기 중에 하지 못하면 다음 시장이 계속 이어갈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면서 "(들불축제와 과년해)전통과 이때까지 했던 모든 과정에 대해서 최소한 유지를 하면서 더큰 도약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 대부분의 의원들의 얘기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들불축제 유지하되 변화 필요" 권고… 제주시 선택은?
"제주시는 졸속 들불축제 원탁회의 사과하고 전면 재검토하라"
고태민 "들불축제 이산화탄소 배출 과장된 주장"
"내년 제주들불축제 없고 향후 오름 불놓기도 없다"
[사설] '불'만 없는 들불축제… '앙꼬 없는 찐빵'?
"들불축제 문제, 행정시장 책임질 수 있느냐"[2023 행감]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0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ġ/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