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공무원 보수 '3.5%' 인상.. 9년 만에 최대 폭
입력 : 2025. 08. 29(금) 16:21수정 : 2025. 08. 29(금) 16:23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가가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2020년 90.5%→2024년 83.9%

[한라일보] 내년 공무원 보수가 3.5% 인상된다. 올해(3.0%)보다 0.5%포인트 높고, 지난 2017년(3.5%) 이후 9년 만에 최고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6년도 예산안'을 확정했다.
2년 연속 3%대 인상이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2.9%)과 정부와 한국은행의 내년도 물가상승 전망치(2.
0%)를 모두 웃도는 수치다.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사실상 정체된 보수를 정상화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2017년 3.5%에서 2021년 0.9%까지 떨어졌다가 4년 연속 올라 올해 3.0%대를 회복했다.
최근 민간에 비해 낮은 처우 등으로 인한 공직의 인기 하락, 그에 따른 사기 저하 문제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에 따르면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2020년 90.5%에서 지난해 83.9%로 낮아졌다.
9급 초임 공무원의 봉급과 기타 수당을 더한 전체 보수는 올해 연 3천222만원(월평균 269만원)이다.
공직 인기도 점차 꺾이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7급·9급 일반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20~34세 청년은 12만9천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소 수준이다.
정점이었던 2021년(31만3천 명)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줄었다.
행정고시 및 전문직 시험 준비생도 2021년 10만5천명에서 매년 줄어 올해는 8만1천명으로 감소했다.
젊은 공무원 퇴직은 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임용 후 5년 이내 퇴직하는 공무원은 2019년 6천500명에서 2023년 1만3천566명으로 배 이상 늘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무원과 민간 사이 보수 격차가 커지는 추세 등을 고려해 작년보다 보수 인상률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정부는 29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6년도 예산안'을 확정했다.
2년 연속 3%대 인상이다.
0%)를 모두 웃도는 수치다.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사실상 정체된 보수를 정상화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2017년 3.5%에서 2021년 0.9%까지 떨어졌다가 4년 연속 올라 올해 3.0%대를 회복했다.
최근 민간에 비해 낮은 처우 등으로 인한 공직의 인기 하락, 그에 따른 사기 저하 문제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에 따르면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2020년 90.5%에서 지난해 83.9%로 낮아졌다.
9급 초임 공무원의 봉급과 기타 수당을 더한 전체 보수는 올해 연 3천222만원(월평균 269만원)이다.
공직 인기도 점차 꺾이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7급·9급 일반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20~34세 청년은 12만9천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소 수준이다.
정점이었던 2021년(31만3천 명)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줄었다.
행정고시 및 전문직 시험 준비생도 2021년 10만5천명에서 매년 줄어 올해는 8만1천명으로 감소했다.
젊은 공무원 퇴직은 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임용 후 5년 이내 퇴직하는 공무원은 2019년 6천500명에서 2023년 1만3천566명으로 배 이상 늘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무원과 민간 사이 보수 격차가 커지는 추세 등을 고려해 작년보다 보수 인상률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