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 만족 교육정책 '생활 속 인성교육'
입력 : 2025. 09. 08(월) 13:46
김채현기자 hakch@ihalla.com
가가
도교육청, 2026 제주교육 수립 도민 여론조사
제주교육 역점과제로도 인성교육 내실화 꼽아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과제는 "인성 함양"
제주교육 역점과제로도 인성교육 내실화 꼽아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과제는 "인성 함양"

[한라일보] 올해 제주교육 정책 가운데 도민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생활 속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학교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후 역점과제로도 인성교육 내실화가 최우선으로 꼽혔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난달 6일부터 16일까지 19세 이상 도민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 제주교육 수립을 위한 도민 여론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 면접과 온라인을 병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p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제주교육 정책 중 도민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생활 속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학교 지원(30.1%)이었다. 이어 학생 진로·희망을 반영한 고교체제 개편 추진(21.6%), 학교폭력 예방활동 및 선도학교 지원(21.9%), 학생 맞춤형 통합지원 선도학교 운영(18.0%) 순으로 집계됐다.
앞으로 더욱 관심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제주교육 역점과제 역시 인성교육 내실화가 19.0%로 1위였다. 이어 학교폭력 예방 강화(15.3%), 365일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8.8%)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의 중점 추진 과제로는 건강한 교육공동체 구현(25.4%)과 인성 함양 교육 추진(20.8%)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바람직한 정책 방향으로는 학생복지 및 교육격차 해소 지원(22.2%)이 가장 높았으며,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17.3%), 맞춤형 방과후학교 지원(13.3%)이 뒤를 이었다.
적정규모학교 육성과 관련해서는 '학교별 교육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적정규모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35.7%로 가장 높았다. 제주교육 정책에 접근하는 경로로는 TV·인터넷 방송(28.5%)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인터넷·모바일, 신문 순으로 조사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도민들의 요구를 확인한 만큼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난달 6일부터 16일까지 19세 이상 도민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 제주교육 수립을 위한 도민 여론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 면접과 온라인을 병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p다.
앞으로 더욱 관심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제주교육 역점과제 역시 인성교육 내실화가 19.0%로 1위였다. 이어 학교폭력 예방 강화(15.3%), 365일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8.8%)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의 중점 추진 과제로는 건강한 교육공동체 구현(25.4%)과 인성 함양 교육 추진(20.8%)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바람직한 정책 방향으로는 학생복지 및 교육격차 해소 지원(22.2%)이 가장 높았으며,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17.3%), 맞춤형 방과후학교 지원(13.3%)이 뒤를 이었다.
적정규모학교 육성과 관련해서는 '학교별 교육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적정규모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35.7%로 가장 높았다. 제주교육 정책에 접근하는 경로로는 TV·인터넷 방송(28.5%)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인터넷·모바일, 신문 순으로 조사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도민들의 요구를 확인한 만큼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