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제주도정 수의계약 내역”… 시민단체 의혹 제기
입력 : 2025. 11. 26(수) 16:46수정 : 2025. 11. 26(수) 16:47
양유리 기자 glassy38@ihalla.com
제주참여환경연대, 오영훈 도정 수의계약 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귀포시 4배 급증·토건인프라 집중·정보공개 불투명” 지적
참여환경연대는 ‘민선8기 오영훈 도정 수의계약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한라일보]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오영훈 도정의 수의계약 과정이 “불투명·불공정하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사단법인 참여환경연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민선8기 오영훈 도정 수의계약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참여환경연대는 수의계약 실태 파악을 위해 올해 10월 6일부터 11월 24일까지 약 두달간 제주도 계약현황 게시판에 게시된 5만9009건의 수의계약에 대한 계약 내용 및 금액, 대상자를 정리했다. 조사 대상 기간은 2021년 7월 1일부터 2025년 60일까지다.

이를 토대로 ▷도정 연차별 수의계약 금액·건수 변동 ▷발주처별 금액·건수 변동 ▷2000만원(수의계약 제한 금액) 초과 수의계약 횟수·금액 ▷단일 발주 계약금 TOP 30 ▷수의계약 누적 액수 TOP 30업체 ▷분야별 수의계약 현황 등을 분석했다.

참여환경연대는 민선8기 오영훈 도정 들어 제주도와 제주시, 서귀포시 중 서귀포시의 수의계약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점 등을 문제삼았다.

자료에 따르면 오영훈 도정 3년차까지 체결된 수의계약은 4만6082건, 총액은 1조114억150만원이다.

참여환경연대는 ‘민선8기 오영훈 도정 수의계약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 단체는 “원희룡 도정 2기 4년차에 서귀포시는 수의계약 총액이 330억원으로 제주시, 제주도에 이어 세 번째였다”며 “이는 오영훈 도정 1년차에 724억원으로 제주시(635억), 제주도(505억)을 앞질렀다. 오영훈도정 3년차에는 서귀포시가 1332억원으로 제주시(641억)와 제주도(418억)에 비해 압도적 차이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영훈 도정 들어서 2000만원을 초과하는 수의계약 비율과 액수는 상승했다”며 “오영훈 도정 3년차에는 4215회, 2700억원 규모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또 “토건인프라 관련 수의계약 총액이 1328억원으로 두 번째인 버스정보시스템 관련 총액(173억)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며 “특히 레미콘 관련 물품계약이 많은데, 도내의 많은 레미콘업체들과 경쟁입찰하지 않고 레미콘협동조합에 수의계약 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참여환경연대는 ‘민선8기 오영훈 도정 수의계약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그러면서 수의계약 관련 정보공개가 부실한 점을 꼬집었다.

참여환경연대는 “수소 청소차의 경우도 몇 대를, 어떤 필요로 샀는지, 왜 수의계약을 했는지 전혀 기재돼 있지 않다”며 “전라남도는 수의계약 사유에 대해 법조항을 상세히 밝히고, 서울특별시는 발주부서·수의계약 사유·물품별 내역과 단가 등을 공유한다”고 비교했다.

또 “수의계약이 불투명하고 불공정하다면 도덕성 문제를 뛰어넘어 오영훈 도정의 법적 책임까지 물을 수 있다”며 “결백하다면 오영훈 도정 3년간 수의계약의 구체적 사유와 물품 내역 등을 상세히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한라일보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89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사회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