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주 노쇼 사기 50건·피해액 3억인데 검거는 '0'
입력 : 2025. 09. 05(금) 13:32수정 : 2025. 09. 05(금) 14:29
백금탁기자 haru@ihalla.com
박정현 의원 "악질 범죄… 검거율 제고 경찰 관심 더 가져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당직자를 사칭하는 '노쇼 사기'가 제주에서도 잇따르자, 민주당 제주도당 선거대책위원회가 5월 경찰에 고발장을 제출하고 있다. 한라일보DB
[한라일보] 올해 제주에서 발생한 '노쇼(no show·예약 부도)' 사기가 빈발하고 이에 따른 피해액도 수억원대에 이르렀으나 정작 검거 사례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최근 경기 불황으로 경제난을 겪는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대덕)이 경찰청에서 받은 '시도별 노쇼 사기 현황 자료'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올해 전국에서 발생한 노쇼 사기는 2892건이며 피해액은 414억원이다.

노쇼 사기는 공공기관·기업 등으로 속여 대량 주문을 하며 선결제·대리구매를 유도한 후 현장에 나타나지 않는 행위 등을 말한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577건(피해액 7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284건(38억원), 서울 281건(33억원), 전북 216건(35억원) 순이었다. 제주는 50건(피해액) 3억원이다.

실제 지난 5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둬 정당 관계자를 사칭한 노쇼 사기 6건이 발생했고 이 가운데 2건은 금전 피해로 이어졌다.

이에 앞서 지난 3월에도 군 간부를 사칭해 도내 제과점에 33만원 상당의 빵을 주문하고 잠적하는 사례도 있었다.

하지만 범인 검거 건수는 22건(81명·0.7%)에 불과했다. 지역 경찰청별로 제주를 포함해 서울, 경기 북부, 경북, 부산, 세종 등에선 단 1건의 사건도 해결하지 못했다.

박 의원은 "전화주문 사기는 유명한 공공기관과 기업의 이름을 빌려 소상공인을 현혹하게 만드는 악질 범죄"라며 "서민을 울리는 악질 범죄를 뿌리 뽑고, 0.7%에 머물러 있는 검거율을 높이기 위해 경찰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15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ȸ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