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의 갓 써볼까… 목 관아서 '제주 무형유산 대전'
입력 : 2025. 09. 02(화) 13:54수정 : 2025. 09. 02(화) 17:47
박소정 기자 cosorong@ihalla.com
가가
이달 5~6일 목 관아 일원
28개 종목 한자리서 체험
관객 참여형 마당극 형식
전승자 공연·시연·체험
28개 종목 한자리서 체험
관객 참여형 마당극 형식
전승자 공연·시연·체험

탕건장 보유자 시연. 제주도 제공
[한라일보] 제주 고유의 정체성이 담긴 무형유산 28개 종목이 한자리에 모인다. 이달 5~6일 이틀간 제주시 제주목 관아 일원에서 열리는 '2025 제주 무형유산 대전'에서다.
제주특별자치도가 마련한 이번 행사는 국가 지정 6개, 도 지정 22개 종목의 전승자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시연·체험을 통해 제주 무형유산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축제다.
올해는 기존 공연 형식을 벗어나 관객 참여형 마당극으로 진행한다. 행사는 폭염을 고려해 5일은 오후 3~7시, 6일은 오후 4~7시 운영된다.
첫날인 5일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칠머리당 영등굿'과 국가무형유산 '제주큰굿'의 의식재현이 펼쳐진다. 농업활동에서 불렸던 제주농요와 제주를 대표하는 민요 공연도 이어진다.
둘째날인 6일에는 해녀노래, 방앗돌 굴리는 노래 등 제주의 노동요와 영감놀이, 행상소리, 제주시창민요 등 다양한 전통문화 공연이 펼쳐진다.
또 최근 인기를 끈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K)팝 데몬 헌터스'로 '갓'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유산 '갓일' 전승자들의 시연과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갓 쓰기 체험'을 준비한다.
이밖에도 탕건·망건 제작 시연, 제주 전통주 고소리술·오메기술 시음, 고분양태·정동벌립 체험 등 제주 전통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어린이들을 위해 전통놀이 체험강사가 지도하는 전통놀이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밖에 4일에는 사전 행사로 송당리 마불림제와 성읍 오메기술 등 무형유산을 찾아가는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고종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마당극 형식으로 관객과 호흡하며 무형유산의 가치를 공유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제주 고유의 정체성이 담긴 무형유산을 한자리에서 보고 듣고 체험하며 제주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가 마련한 이번 행사는 국가 지정 6개, 도 지정 22개 종목의 전승자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시연·체험을 통해 제주 무형유산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축제다.
첫날인 5일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칠머리당 영등굿'과 국가무형유산 '제주큰굿'의 의식재현이 펼쳐진다. 농업활동에서 불렸던 제주농요와 제주를 대표하는 민요 공연도 이어진다.
둘째날인 6일에는 해녀노래, 방앗돌 굴리는 노래 등 제주의 노동요와 영감놀이, 행상소리, 제주시창민요 등 다양한 전통문화 공연이 펼쳐진다.
또 최근 인기를 끈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K)팝 데몬 헌터스'로 '갓'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유산 '갓일' 전승자들의 시연과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갓 쓰기 체험'을 준비한다.
이밖에도 탕건·망건 제작 시연, 제주 전통주 고소리술·오메기술 시음, 고분양태·정동벌립 체험 등 제주 전통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어린이들을 위해 전통놀이 체험강사가 지도하는 전통놀이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밖에 4일에는 사전 행사로 송당리 마불림제와 성읍 오메기술 등 무형유산을 찾아가는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고종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마당극 형식으로 관객과 호흡하며 무형유산의 가치를 공유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제주 고유의 정체성이 담긴 무형유산을 한자리에서 보고 듣고 체험하며 제주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