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연 강수량 100㎜ 늘면 제주지역 생산액 0.3% 감소"
입력 : 2024. 04. 02(화) 16:01수정 : 2024. 04. 02(화) 18:45
백금탁 기자 haru@ihalla.com
가가
제주연구원 "건설·서비스·농림어업·제조업 순 피해 커"
2040년 4.3~4.4%감소… 기후변화 대응 산업정책 필요
2040년 4.3~4.4%감소… 기후변화 대응 산업정책 필요

[한라일보] 연 강수량이 100㎜ 늘면 제주지역 생산액은 0.3%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제주연구원 기반산업부는 2일 JRI정책이슈브리프를 통해 기후변화 현황과 이로 인한 제주지역 산업별 영향을 분석, 발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50년(1973~2022년)간 제주지역 평균기온은 1.5℃, 연 강수량은 99.0㎜ 상승했다. 이 기간에 10년당 제주지역의 평균기온 상승률은 +0.3℃, 연 강수량은 +19.8㎜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제주지역 산업 생산액은 평균기온 1℃ 증가할 때마다 3.1% 줄었고, 연 강수량 100㎜ 증가 시 0.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주연구원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면 2040년에는 제주지역 산업 생산액이 4.3~4.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제주지역 산업별 영향 분석 결과, 피해율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 서비스업, 농림어업 등으로 나왔다. 다만, 제조업 피해는 미미했고 광업·전기·가스공급업은 오히려 생산액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 농림어업은 연 강수량 100㎜ 늘면 생산액 0.4% 감소하고, 건설업은 평균기온 1℃ 오르면 2.8% 생산액이 줄었다. 서비스업은 1℃ 증가 시 1.7% 생산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다. 제조업은 평균기온과 연 강수량 증가의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고 다만 결빙일수 1일 감소 시 0.02% 생산액이 줄었다. 반면, 전기·가스 공급업은 평균기온 1℃ 오르면 생산액은 오히려 3.4%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주연구원은 도내 산업 중 기후변화에 따라 피해가 전망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적응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하는 산업인 전기·가스 공급업 가운데 그린수소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제주연구원 기반산업부는 2일 JRI정책이슈브리프를 통해 기후변화 현황과 이로 인한 제주지역 산업별 영향을 분석, 발표했다.
기후변화로 제주지역 산업 생산액은 평균기온 1℃ 증가할 때마다 3.1% 줄었고, 연 강수량 100㎜ 증가 시 0.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주연구원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면 2040년에는 제주지역 산업 생산액이 4.3~4.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제주지역 산업별 영향 분석 결과, 피해율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 서비스업, 농림어업 등으로 나왔다. 다만, 제조업 피해는 미미했고 광업·전기·가스공급업은 오히려 생산액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 농림어업은 연 강수량 100㎜ 늘면 생산액 0.4% 감소하고, 건설업은 평균기온 1℃ 오르면 2.8% 생산액이 줄었다. 서비스업은 1℃ 증가 시 1.7% 생산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다. 제조업은 평균기온과 연 강수량 증가의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고 다만 결빙일수 1일 감소 시 0.02% 생산액이 줄었다. 반면, 전기·가스 공급업은 평균기온 1℃ 오르면 생산액은 오히려 3.4%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주연구원은 도내 산업 중 기후변화에 따라 피해가 전망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적응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하는 산업인 전기·가스 공급업 가운데 그린수소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