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금융·세금 이야기] (5)조세제도와 주요 세금
입력 : 2023. 03. 31(금) 00:00
문미숙 기자 ms@ihalla.com
가가

국세, 상속·법인·부가세 등 14개
지방세는 취득세·레저세 등 모두 11개
[한라일보] 지난번 개업한 김오름씨는 사업이 번창하여 드디어 사무실용 건물을 매입하게 되었다. 그런데 취득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한다. 어디에 문의해야 할까?
우리 세법에서는 총 25개의 세금을 규정하는데 국세가 14개, 지방세가 11개이다. 국세는 국가에서 부과하는 세금으로 내국세와 관세로 나뉜다. 내국세에는 법인세, 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교통·에너지·환경세,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등 13개의 세금이 있다.
지방세에는 취득세, 등록면허세, 레저세, 담배소비세, 지방소비세, 주민세, 지방소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 등의 11개 세금이 있다.
국세는 '1세목 1세법 주의'로 하나의 세목당 한 개의 개별 세법이 있다(소득세법,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등. 단, 유사성을 고려하여 '상속세 및증여세법'은 하나의 세법으로 규정). 하지만, 지방세법은 11개의 세금을 지방세법이라는 하나의 세법에서 포괄하고 있다.
국세는 기획재정부, 국세청, 세무서 등에서 관할하고, 지방세는 행정자치부와 각 시도, 시·군·구에서 관할하므로 세금의 종류에 따라서 문의할 관청도 다르다. 또한, 국세는 지역별 관할 관청을 바꿔서 신고해도 가산세가 없는 반면에, 지방세는 세목에 따라 가산세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주요 세금의 개념을 알아보면, 우선 소득세는 소득자가 개인일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소득세법은 열거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세금이 부과되는 소득을 열거한다. 반면 법인세는 소득자가 법인일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포괄주의에 의거 법인이 얻는 모든 경제적 이익에 대하여 과세한다. 따라서, 같은 소득이라 하더라도 소득자가 개인 또는 법인 여부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부가가치세는 재화나 용역의 생산 및 유통 등 모든 단계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으로 보고 그 단계마다 증가한 부가가치에 대한 세금을 사업자가 소비자로부터 징수하여 납부하는 것으로, 소득이 아닌 소비에 대해 부과하는 일반 소비세이다.
<이해성 한국예탁결제원 수석위원·경영학박사>
지방세는 취득세·레저세 등 모두 11개
[한라일보] 지난번 개업한 김오름씨는 사업이 번창하여 드디어 사무실용 건물을 매입하게 되었다. 그런데 취득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한다. 어디에 문의해야 할까?
지방세에는 취득세, 등록면허세, 레저세, 담배소비세, 지방소비세, 주민세, 지방소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 등의 11개 세금이 있다.
국세는 '1세목 1세법 주의'로 하나의 세목당 한 개의 개별 세법이 있다(소득세법,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등. 단, 유사성을 고려하여 '상속세 및증여세법'은 하나의 세법으로 규정). 하지만, 지방세법은 11개의 세금을 지방세법이라는 하나의 세법에서 포괄하고 있다.
국세는 기획재정부, 국세청, 세무서 등에서 관할하고, 지방세는 행정자치부와 각 시도, 시·군·구에서 관할하므로 세금의 종류에 따라서 문의할 관청도 다르다. 또한, 국세는 지역별 관할 관청을 바꿔서 신고해도 가산세가 없는 반면에, 지방세는 세목에 따라 가산세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주요 세금의 개념을 알아보면, 우선 소득세는 소득자가 개인일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소득세법은 열거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세금이 부과되는 소득을 열거한다. 반면 법인세는 소득자가 법인일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포괄주의에 의거 법인이 얻는 모든 경제적 이익에 대하여 과세한다. 따라서, 같은 소득이라 하더라도 소득자가 개인 또는 법인 여부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부가가치세는 재화나 용역의 생산 및 유통 등 모든 단계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으로 보고 그 단계마다 증가한 부가가치에 대한 세금을 사업자가 소비자로부터 징수하여 납부하는 것으로, 소득이 아닌 소비에 대해 부과하는 일반 소비세이다.
<이해성 한국예탁결제원 수석위원·경영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