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의료체계 변화와 도전] (4)야간·휴일도 병원 불 밝히는 공공협력의원
입력 : 2025. 07. 25(금) 03:00수정 : 2025. 07. 25(금) 09:04
이상민 기자 hasm@ihalla.com
가가
전국 최초 민관협력 모델로 시작 의료취약지에 개원
3년간 공공병원서 운영 맡은 뒤 민간으로 전환 계획
민간 전환 위해 남은기간 안정적 운영 기반 마련 관건
3년간 공공병원서 운영 맡은 뒤 민간으로 전환 계획
민간 전환 위해 남은기간 안정적 운영 기반 마련 관건

서귀포공공협력의원 개원식. 제주도 제공
[한라일보] 서귀포공공협력의원으로 이름을 바꿔 제주지역에서 개원한 민관협력의원이 운영 활성화를 위해 의료진 채용 조건을 완화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서귀포공공협력의원은 올해 1월 23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에 개원한 전국 최초의 민관협력의원이다.
민관협력의원은 의료여건이 취약한 읍·면 지역 의료서비스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이 의원급 건물과 의료장비 등 시설을 갖추면 민간 의료인에게 휴일과 야간에 진료하는 조건으로 이들 의료시설을 저렴하게 임대해 운영되는 병원을 말한다.
민관협력의원에 대한 구상은 서귀포시가 했다. 시는 지난 2019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지역발전 투자협약 시범사업’ 공모에 민관협력의원 운영을 골자로 한 ‘지역사회 통합형 의료안전망 구축사업’을 제출해 정부 지원을 이끌어냈다.
이후 시는 민관협력의원 설립 지역을 검토하기 위해 지역별 의료이용현황, 의료수요 인구, 응급의료기관까지의 거리, 휴일·야간 진료비 지출 현황을 분석해 의료 여건이 취약한 대정읍 상모리를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어 부지를 매입한 뒤 2021부터 건립 공사를 시작해 2년만인 지난 2023년 1월 민관협력의원을 준공했다. 사업비로는 국비를 포함해 총 47억 4500만원이 투입됐다.
전국 최초의 민관협력의원은 4885㎡ 부지에 연면적 885㎡, 지상 2층 규모로 설립됐으며 1층에는 진료실과 검진센터, 2층에는 물리치료실 등을 갖추고 있다. 또 약국이 들어설 공간도 조성됐다.
그러나 민관협력의원은 준공 이후 예상하지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 병원 건물이 마련됐지만 운영을 맡을 민간 사업자를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초 시는 시는 내과, 가정의학과, 응급의학과 전문의 1명을 포함한 2∼3명 이상의 진료팀 구성을 조건으로 공모에 나섰지만 세차례 연속 유찰되자 4차 공모 때부터 진료과목 제한을 없애고 전문의 1명 이상이면 응모할 수 있게 조건을 완화했다.
조건이 완화되자 4차 공모에 서울지역 정형외과 전문의가 응모해 운영 계약까지 체결됐지만 해당 의사가 서울에서 운영하던 병원 매각이 무산되자 계약을 포기했다. 이후에도 두 차례 더 공모가 진행됐지만 결국 민간 운영자를 찾지 못했다.
결국 제주도는 도내 공공의료기관인 서귀포의료원에 민관협력의원을 운영을 맡겨 개원하기로 결정했다. 민관협력의원 이름이 지금의 서귀포공공협력의원으로 변경된 것도 이 때문이다.
제주도는 3년 간 서귀포의료원에 운영을 맡긴 뒤 2028년부터는 도입 취지에 맞게 민간 운영자를 다시 찾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귀포의료원과 함께 서귀포공공협력의원 운영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 서부보건소는 향후 민간사업자에게 병원 운영을 맡기려면 3년 안에 수익 안정성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서부보건소 이미정 보건행정팀장은 "병원의 안정적 수익원 중에는 건강검진이 있다"며 "건강검진은 성인 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정기적으로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건강검진 시행에 필요한 임상병리사를 구하기 위해 채용 나이 제한을 최근 완화했다"며 "공공협력의원은 지역 주민들의 그동안 야간 휴일 진료의 불편함을 덜고, 동네 주치의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귀포공공협력의원은 월요일을 제외한 매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이 기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서귀포공공협력의원은 올해 1월 23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에 개원한 전국 최초의 민관협력의원이다.
민관협력의원에 대한 구상은 서귀포시가 했다. 시는 지난 2019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지역발전 투자협약 시범사업’ 공모에 민관협력의원 운영을 골자로 한 ‘지역사회 통합형 의료안전망 구축사업’을 제출해 정부 지원을 이끌어냈다.
이후 시는 민관협력의원 설립 지역을 검토하기 위해 지역별 의료이용현황, 의료수요 인구, 응급의료기관까지의 거리, 휴일·야간 진료비 지출 현황을 분석해 의료 여건이 취약한 대정읍 상모리를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어 부지를 매입한 뒤 2021부터 건립 공사를 시작해 2년만인 지난 2023년 1월 민관협력의원을 준공했다. 사업비로는 국비를 포함해 총 47억 4500만원이 투입됐다.
전국 최초의 민관협력의원은 4885㎡ 부지에 연면적 885㎡, 지상 2층 규모로 설립됐으며 1층에는 진료실과 검진센터, 2층에는 물리치료실 등을 갖추고 있다. 또 약국이 들어설 공간도 조성됐다.
그러나 민관협력의원은 준공 이후 예상하지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 병원 건물이 마련됐지만 운영을 맡을 민간 사업자를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초 시는 시는 내과, 가정의학과, 응급의학과 전문의 1명을 포함한 2∼3명 이상의 진료팀 구성을 조건으로 공모에 나섰지만 세차례 연속 유찰되자 4차 공모 때부터 진료과목 제한을 없애고 전문의 1명 이상이면 응모할 수 있게 조건을 완화했다.
조건이 완화되자 4차 공모에 서울지역 정형외과 전문의가 응모해 운영 계약까지 체결됐지만 해당 의사가 서울에서 운영하던 병원 매각이 무산되자 계약을 포기했다. 이후에도 두 차례 더 공모가 진행됐지만 결국 민간 운영자를 찾지 못했다.
결국 제주도는 도내 공공의료기관인 서귀포의료원에 민관협력의원을 운영을 맡겨 개원하기로 결정했다. 민관협력의원 이름이 지금의 서귀포공공협력의원으로 변경된 것도 이 때문이다.
제주도는 3년 간 서귀포의료원에 운영을 맡긴 뒤 2028년부터는 도입 취지에 맞게 민간 운영자를 다시 찾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귀포의료원과 함께 서귀포공공협력의원 운영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 서부보건소는 향후 민간사업자에게 병원 운영을 맡기려면 3년 안에 수익 안정성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서부보건소 이미정 보건행정팀장은 "병원의 안정적 수익원 중에는 건강검진이 있다"며 "건강검진은 성인 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정기적으로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건강검진 시행에 필요한 임상병리사를 구하기 위해 채용 나이 제한을 최근 완화했다"며 "공공협력의원은 지역 주민들의 그동안 야간 휴일 진료의 불편함을 덜고, 동네 주치의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귀포공공협력의원은 월요일을 제외한 매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이 기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