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담론]한라산은 인기가 없다?
입력 : 2012. 04. 05(목) 00:00
가가

한라산국립공원이 자연환경안내원 9명을 모집하는 공고를 두 차례나 냈는데도 응모자가 거의 없어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관련 자격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근무할 여건이 되지 않아서 지원을 하지 않는 것인지, 그런 자격 소지자가 제주도 내에 거의 없어서 그런 건지 뒷얘기만 무성하다.
한라산국립공원은 지난해에 108만 9000여명이 찾았다. 본보 3월 10일자 보도에 따르면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은 올 들어 30% 이상 폭증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대로 간다면 올해 130여만 명이 탐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이는 일 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3561명이나 되는 많은 인원이 탐방한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탐방객이 증가하는 것은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와 주5일 수업 등 토요 휴무제 확대, 등반 애호가 증가가 그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런 분석이 맞는다면 앞으로도 증가 추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한라산은 인기가 매우 높은 산이라고 하는 것이 맞는 말이다.
그런데도 유독 자연환경안내원들에게만은 인기가 없다. 이번에 모집하려고 했던 모집대상자의 자격은 생태학, 생물학, 환경학 또는 조경학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대학 2년제 이상 졸업)거나 공공기관 및 환경단체 자연(생태)해설 교육이수자이다. 2년제 이상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한 졸업자도 많겠지만 흔히 해설사로 통칭되고 있는 관련교육이수자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관련분야에서 교육을 이수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부심과 존경받는 해설사로 인정받기 위하여 꾸준히 실력을 배양하는 사람들이다. 한 예로 산림청은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산림문화·휴양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숲해설가 교육과정은 작년 말 현재 전국적으로 23개 기관이 인증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교육을 받은 숲해설가는 숲을 찾는 국민들에게 숲과 관련된 환경생태ㆍ문화적 지식을 갖추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숲의 중요성 등을 알리는 첨병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산림교육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제주도 내에는 이렇게 배출된 숲해설가를 비롯하여 문화관광해설사, 자연유산해설사, 곶자왈해설사, 길생태해설사, 오름해설사, 지질해설사, 유배문화해설사, 작가의 산책길해설사 등 여러 분야에서 해설사들이 배출되어 활약하고 있다. 현재까지 배출된 인원은 대략 1000여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그 중 70% 정도는 관련분야에서 일을 하고 싶으나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숫자는 추정에 불과한데 이것은 이렇게 다양한 해설사들에 대한 관심부재와 수요를 예상하지 않은 채 배출되고 있는 데 기인하는 것이다. 분야별 해설사의 수급계획과 함께 취업과 복지 그리고 재교육계획을 담당할 조직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라산은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생태와 문화에 관련된 수많은 콘텐츠와 얘깃거리들이 개발되어 있거나 발굴 중이다. 급증하는 탐방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한라산의 생태문화에 대해서 준비하고 인증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해설사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모집공고를 냈는데도 지원자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라산이 관련 해설사들에게는 인기가 없는 모양이다. 한라산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다. 제주도민, 우리 국민, 전 세계 모든 이들에게 사랑받는 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찬수 난대산림연구소 박사>
그런데도 유독 자연환경안내원들에게만은 인기가 없다. 이번에 모집하려고 했던 모집대상자의 자격은 생태학, 생물학, 환경학 또는 조경학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대학 2년제 이상 졸업)거나 공공기관 및 환경단체 자연(생태)해설 교육이수자이다. 2년제 이상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한 졸업자도 많겠지만 흔히 해설사로 통칭되고 있는 관련교육이수자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관련분야에서 교육을 이수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부심과 존경받는 해설사로 인정받기 위하여 꾸준히 실력을 배양하는 사람들이다. 한 예로 산림청은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산림문화·휴양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숲해설가 교육과정은 작년 말 현재 전국적으로 23개 기관이 인증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교육을 받은 숲해설가는 숲을 찾는 국민들에게 숲과 관련된 환경생태ㆍ문화적 지식을 갖추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숲의 중요성 등을 알리는 첨병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산림교육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제주도 내에는 이렇게 배출된 숲해설가를 비롯하여 문화관광해설사, 자연유산해설사, 곶자왈해설사, 길생태해설사, 오름해설사, 지질해설사, 유배문화해설사, 작가의 산책길해설사 등 여러 분야에서 해설사들이 배출되어 활약하고 있다. 현재까지 배출된 인원은 대략 1000여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그 중 70% 정도는 관련분야에서 일을 하고 싶으나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숫자는 추정에 불과한데 이것은 이렇게 다양한 해설사들에 대한 관심부재와 수요를 예상하지 않은 채 배출되고 있는 데 기인하는 것이다. 분야별 해설사의 수급계획과 함께 취업과 복지 그리고 재교육계획을 담당할 조직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라산은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생태와 문화에 관련된 수많은 콘텐츠와 얘깃거리들이 개발되어 있거나 발굴 중이다. 급증하는 탐방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한라산의 생태문화에 대해서 준비하고 인증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해설사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모집공고를 냈는데도 지원자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라산이 관련 해설사들에게는 인기가 없는 모양이다. 한라산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다. 제주도민, 우리 국민, 전 세계 모든 이들에게 사랑받는 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찬수 난대산림연구소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