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人터뷰]제주국제감귤박람회 정달호 공동위원장
입력 : 2015. 11. 04(수) 00:00
강봄 기자 spring@ihalla.com
가가
"제주는 감귤 향기가 가득한 감귤의 나라"

정달호 공동위원장은 "제주국제감귤박람회에서 '제주의 미래'와 '세계 속 명품 감귤'을 만끽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봄기자
2010년 제주국제연수센터소장 맡으면서 제주에 정착
전직 외교관 경험 살려 감귤박람회에 주한대사들 초청
"감귤 소재 연중 이벤트 통해 생활의 일부로 여기도록"
"도민뿐 아니라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도 감귤을 생활의 일부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감귤을 주제로 계절별 연중 이벤트를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오는 6일 개막하는 제주국제감귤박람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달호(66) 위원장의 이력은 화려하다. 경북 안동이 고향인 그는 서울대학교(정치학과)와 뉴욕대(NYU) 석사,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선임 연구원을 거쳤다. 외교관으로서 오스트리아 대사관 공사(1997~2000년), 제8차 유엔범죄예방위원회 부의장(1999년), 외교통상부 이사관(2001~2002), 파나마 대사관 대사(2002~2004년),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영사 대사(2006년) 등을 거쳐 이집트 대사관 대사(2006~2009년)를 마지막으로 외교관직을 내려놓았다.
이후 2010년 10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으로 설립된 제주도 내 유일한 국제기구인 유엔훈련연구기구(UNITAR) 제주국제연수센터(JITC)의 소장직을 맡으면서 제주와 인연이 닿았다.
올해 초부터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조직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는 그는 전직 외교관으로서의 경험을 살려 이번 감귤박람회에 다수의 주한대사들을 초청하는데 힘을 보탰다. "제주감귤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주한대사들을 통한 홍보만큼 좋은 게 없어요. 내년 감귤박람회에는 우리나라 모든 주한대사관 관계자들을 초청해 내실 있고 규모 있는 국제적인 행사로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이렇게 된다면 제주감귤의 세계 명품화가 자연스레 이뤄지고, 또 대사관을 통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전통문화 행사가 감귤박람회에서 선보이게 될 것입니다."
정 위원장은 특히 감귤을 소재로 한 각종 행사가 연중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5월 제주 곳곳에 가득한 감귤 꽃을 잘 모르는 분들이 의외로 많아요. 감귤 꽃이 하얗게 내려 그 향기가 가득하죠. 이렇듯 계절별로 감귤을 소재로 스토리텔링을 개발, 이를 토대로 각종 이벤트를 마련한다면 제주감귤의 상품화가 뒤따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다른 고부가가치 상품이 되는 것이죠."
"6년 전 제주에 왔을 때 아내가 도시에서 겪을 수 없는 낭만에 빠졌어요. 제주에 살아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죠. 무엇보다 익숙지 않은 향기가 코끝에 와 닿았어요. 주변에 그 만한 향을 뿌릴 만한 꽃이 없어서 의아했죠. 한참 둘러보고 나서야 '감귤 꽃' 향기란 걸 알게 됐어요. 제주는 '감귤 향기가 가득한 감귤의 나라'입니다. 건조한 시기인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감귤이 없다고 생각해보세요. 참으로 고마운 선물이 아닐 수 없죠."
마지막으로 한마디. "이번 제주국제감귤박람회에 오시면 '제주의 미래'와 '세계 속의 명품 감귤'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감귤 꽃과 감귤 향기의 그윽함은 덤이고요. 자연의 품에서 삶의 즐거움을 찾고 싶으시죠? 그렇다면 감귤박람회로 '혼저옵서예'."
전직 외교관 경험 살려 감귤박람회에 주한대사들 초청
"감귤 소재 연중 이벤트 통해 생활의 일부로 여기도록"
"도민뿐 아니라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도 감귤을 생활의 일부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감귤을 주제로 계절별 연중 이벤트를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후 2010년 10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으로 설립된 제주도 내 유일한 국제기구인 유엔훈련연구기구(UNITAR) 제주국제연수센터(JITC)의 소장직을 맡으면서 제주와 인연이 닿았다.
올해 초부터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조직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는 그는 전직 외교관으로서의 경험을 살려 이번 감귤박람회에 다수의 주한대사들을 초청하는데 힘을 보탰다. "제주감귤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주한대사들을 통한 홍보만큼 좋은 게 없어요. 내년 감귤박람회에는 우리나라 모든 주한대사관 관계자들을 초청해 내실 있고 규모 있는 국제적인 행사로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이렇게 된다면 제주감귤의 세계 명품화가 자연스레 이뤄지고, 또 대사관을 통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전통문화 행사가 감귤박람회에서 선보이게 될 것입니다."
정 위원장은 특히 감귤을 소재로 한 각종 행사가 연중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5월 제주 곳곳에 가득한 감귤 꽃을 잘 모르는 분들이 의외로 많아요. 감귤 꽃이 하얗게 내려 그 향기가 가득하죠. 이렇듯 계절별로 감귤을 소재로 스토리텔링을 개발, 이를 토대로 각종 이벤트를 마련한다면 제주감귤의 상품화가 뒤따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다른 고부가가치 상품이 되는 것이죠."
"6년 전 제주에 왔을 때 아내가 도시에서 겪을 수 없는 낭만에 빠졌어요. 제주에 살아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죠. 무엇보다 익숙지 않은 향기가 코끝에 와 닿았어요. 주변에 그 만한 향을 뿌릴 만한 꽃이 없어서 의아했죠. 한참 둘러보고 나서야 '감귤 꽃' 향기란 걸 알게 됐어요. 제주는 '감귤 향기가 가득한 감귤의 나라'입니다. 건조한 시기인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감귤이 없다고 생각해보세요. 참으로 고마운 선물이 아닐 수 없죠."
마지막으로 한마디. "이번 제주국제감귤박람회에 오시면 '제주의 미래'와 '세계 속의 명품 감귤'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감귤 꽃과 감귤 향기의 그윽함은 덤이고요. 자연의 품에서 삶의 즐거움을 찾고 싶으시죠? 그렇다면 감귤박람회로 '혼저옵서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