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본선 레이스와 정치 참여
입력 : 2010. 05. 03(월) 00:00
<고대용 제2사회부장>
6·2 지방선거가 한달도 채 안남았다. 이번 선거에서는 제2기 특별자치도를 이끌어 갈 도백과 제주교육의 수장인 교육감을 선출해야 한다. 또 도정을 견제하며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꾀할 41명의 의원을 뽑아야 한다.

지방선거의 백미는 도지사 선거다. 한나라당 도지사 후보가 경선대회를 통해 확정됨에 따라 도지사 선거구도는 여·야·무소속 3파전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도지사 후보 구도 윤곽이 드러나면서 지방선거는 이제 본선을 향한 본격적인 레이스로 접어들었다.

경선과 본선은 다르다. 경선은 당원과 한정된 유권자에 의해 심판을 받는 협의의 선거다. 반면 본선은 선거권자인 유권자의 직접 투표에 의해 심판을 받는다. 따라서 후보들은 본선에서 경선때보다 더 강도 높은 유권자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민심의 향배가 당락을 좌우하는 만큼 후보들은 민초들의 눈높이에 맞춘 차별화된 선거전략이 필요하다.

과거처럼 혈연·학연·지연 등을 이용한 연고주의 선거,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해 표를 얻으려는 불법행위, 네거티브 선거전, 헛공약 남발 등 구태를 답습할 경우 유권자들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부와 여당은 선심성 경제정책을 잇따라 쏟아내고 있다. 기존 정책과 충돌하는 설익은 정책은 물론이고 이미 시행되고 있는 내용을 마치 새롭게 시행하는 듯 재포장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정부의 정책은 '서민'과 '지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된 정책대상이던 '서울·수도권'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고소득층 이상을 겨냥한 정책들은 자취를 감췄다. 이는 세종시 논란, 부자중심 정책 등으로 지방여론이 악화된 점을 감안한 선심성 정책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선기간 동안 후보들이 내논 공약도 크게 다르지 않다. 감귤정책, 행정계층구조, 케이블카, 카지노, 물산업, 교육·의료 등 제주사회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돼왔던 해묵은 정책이나 선심성 공약들이 대부분이다.

후보들은 도민을 화합시키고 21세기 제주발전을 견인할 참신한 정책들을 발굴, 유권자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또 그 공약을 실천할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

유권자 또한 달라져야 한다. 정치에 대한 불신·혐오로 사표(死票)를 할 경우 정치 공동체의 한 주체로서 무책임한 일이다. 선거는 민주주의 꽃이다. 투표에 참여하는 작은 일부터 실천할 때 민주주의는 더욱 성숙될 것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새로운 10년을 준비할 역량있는 지도자를 뽑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누가 진정으로 도민들의 이해와 요구를 대변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뒤따라야 한다. 나름대로 옥석을 가려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는 것이 제주의 밝은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 참여 없이는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89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백록담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