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2호 그린수소 충전소 상업 판매 시작
입력 : 2025. 09. 25(목) 10:07수정 : 2025. 09. 25(목) 16:45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가가
kg당 1만 5000원에 판매 제주시 동 지역 첫 구축

[한라일보] 현대차그룹이 제주시 도두동에 구축한 도내 2번째 이동형 수소충전소가 상업 판매를 시작했다.
25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시 도두동 개인택시조합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 부지에 설치된 이동형 수소충전소가 최근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지난 22일부터 상업 운영에 돌입했다.
이 충전소는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조성된 행원 3.3㎿ 그린수소 생산기지에서 만든 그린수소를 공급 받아 판매한다.
판매가격은 도내 1호 수소충전소인 제주시 조천읍 함덕에 구축한 고정식 그린수소 충전소와 동일한 kg당 1만 5000원이다.
운영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생산기지에서 수소를 공급 받는 날을 제외하곤 매일 운영한다. 문을 닫는 날은 충전소가 보유한 수소량에 따라 유동적이다.
제주도는 도내 2호 수소 충전소과 제주시 동 지역에 구축됨에 따라 수소 승용차를 이용하는 도민들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을 기대했다.
도내에서 운행되는 수소차량은 총 80대로. 이중 수소버스 22대, 청소차 1대 등 공공기관 차량을 제외한 민간 차량은 35대다.
제주도는 내년에는 서귀포시 지역에도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계부서 협의와 예산편성 등 사전절차에 착수했다.
또 내년부터는 제주도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수소승용차 민간 보급에도 나설 예정이다.
제주도는 구체적인 수소승용차 구매 보조금 규모와 지원 대상에 대해선 2026년 예산 확정 이후 도 수소경제위원회와 논의해 결정한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그린수소 초기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조성한데 이어 이동형 수소충전소까지 구축돼 도민들의 수소충전 접근성이 한층 개선됐다"며 "수소에너지 확산을 위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고 수소 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25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시 도두동 개인택시조합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 부지에 설치된 이동형 수소충전소가 최근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지난 22일부터 상업 운영에 돌입했다.
판매가격은 도내 1호 수소충전소인 제주시 조천읍 함덕에 구축한 고정식 그린수소 충전소와 동일한 kg당 1만 5000원이다.
운영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생산기지에서 수소를 공급 받는 날을 제외하곤 매일 운영한다. 문을 닫는 날은 충전소가 보유한 수소량에 따라 유동적이다.
제주도는 도내 2호 수소 충전소과 제주시 동 지역에 구축됨에 따라 수소 승용차를 이용하는 도민들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을 기대했다.
도내에서 운행되는 수소차량은 총 80대로. 이중 수소버스 22대, 청소차 1대 등 공공기관 차량을 제외한 민간 차량은 35대다.
제주도는 내년에는 서귀포시 지역에도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계부서 협의와 예산편성 등 사전절차에 착수했다.
또 내년부터는 제주도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수소승용차 민간 보급에도 나설 예정이다.
제주도는 구체적인 수소승용차 구매 보조금 규모와 지원 대상에 대해선 2026년 예산 확정 이후 도 수소경제위원회와 논의해 결정한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그린수소 초기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조성한데 이어 이동형 수소충전소까지 구축돼 도민들의 수소충전 접근성이 한층 개선됐다"며 "수소에너지 확산을 위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고 수소 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