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 아직도 예산 타령
입력 : 2025. 06. 24(화) 00:30
가가
[한라일보] 제주도 내 자연재해위험 개선 지구 정비 사업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침수 등 피해가 반복될 우려를 낳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신규 사업 지구로 선정되고도 사업비의 50%인 국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본격 장마철에 접어들었다. 기후변화로 집중호우 빈도도 잦아지고 있어 걱정이 태산이다.
양 행정시에 따르면 현재 도내 자연재해위험 개선 지구 13곳(제주시 6곳, 서귀포시 7곳)에서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상습 침수피해로 타당성 검토 등 재해저감대책을 수립해 자연재해위험 개선 지구로 대부분 2019~2021년 지정·고시한 곳들이다. 하지만 제주시 지역인 경우 한천지구를 포함 김녕, 평대, 신창한원 지구 정비사업 등의 공정률이 20%대에 머물거나 실시설계 단계에 있는 곳이 적지 않다. 서귀포시 지역도 비슷한 사정이다. 총 사업비 1591억원 중 올해 206억원을 제외하고 앞으로 필요한 예산만 817억원에 이른다. 일부 지구는 당분간 침수 피해를 걱정해야 할 형편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지난 5일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안전을 특별히 강조하고, 공무원들의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예고된 재난·재해 피해가 반복되면 그것은 '인재(人災)'라는 점이다. 제주는 태풍과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가 일상인 곳이다. 철저한 대비만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여전히 예산 확보 타령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제주도정이 행정시와 협업을 통해 계획된 정비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지난 5일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안전을 특별히 강조하고, 공무원들의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예고된 재난·재해 피해가 반복되면 그것은 '인재(人災)'라는 점이다. 제주는 태풍과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가 일상인 곳이다. 철저한 대비만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여전히 예산 확보 타령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제주도정이 행정시와 협업을 통해 계획된 정비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