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2억 투입 '서귀포 문화관광도시 만들기' 본격
입력 : 2024. 11. 12(화) 15:45수정 : 2024. 11. 13(수) 12:34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가가
서귀포시, 17개 사업에 올해보다 갑절 늘린 예산 편성
푸드트럭 운영 여부 주목… "부서 협업 완성도 높일 것"
푸드트럭 운영 여부 주목… "부서 협업 완성도 높일 것"

지난 11일 열린 '문화관광도시 서귀포 만들기' 회의. 서귀포시 제공
[한라일보] '교육과 문화로 미래를 여는 희망의 서귀포시'를 슬로건으로 제시하며 지난 7월 취임한 오순문 시장 체제의 제주 서귀포시가 내년 약 32억 원을 투입해 '문화관광도시 만들기' 사업에 나선다. 민선 8기 후반기 서귀포시의 시정 비전이 내년부터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시기여서 그 핵심 내용 중 하나인 '문화관광도시'가 계획대로 추진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12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2025년 '문화관광도시 만들기' 실행 계획에는 새섬-새연교-천지연폭포 권역과 이중섭거리-명동로 권역에 걸쳐 신규 10개 사업 등 총 17개 사업을 담았다. 전체 사업비는 31억 9000만 원에 이른다.
이 중 새섬-새연교-천지연폭포 권역에서는 ▷칠십리 야외공연장 리모델링(6억) ▷천지연 난대림 관람로 조명등 정비(4000만 원) ▷새연교 상설 주말 공연 운영(3억) ▷서귀포 천지연 여름 음악제(2000만 원) ▷음식판매자동차(푸드트럭) 운영·관리가 들어 있다. 이중섭거리-명동로 권역에는 ▷상점가 시설 현대화(3억) ▷동네상권발전소(1억 5000만 원) ▷명동로 등 도로 정비(3억 3000만 원) ▷명동로 가로등 정비(2억) ▷서귀포 원도심 페스티벌 운영(3억) ▷서귀포 원도심 문화예술 활성화 지원 사업(2억) ▷작가의 산책길 운영 활성화(2억 7000만 원) ▷차 없는 거리 지정 추진 등을 계획 중이다.
이른바 서귀포 원도심권을 중심으로 한 이들 사업은 가짓수와 예산 모두 올해보다 크게 늘었다. 예산 규모만 하더라도 올해(16억)와 비교해 갑절가량 증가했다. 새연교 상설 주말 공연의 경우엔 편성된 사업비가 10배나 뛰었다. 다만 푸드트럭 등 일부 사업은 법적 문제 등 선결 과제가 놓였다.
서귀포시는 이를 토대로 지난 11일 '문화관광도시 서귀포 만들기'의 실행 계획과 추진 체계를 정비하는 협업 부서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오 시장은 17개 사업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해 제주도의회 심의 등에 철저를 기해 달라고 강조했다.
서귀포시에서는 "속도감 있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매월 협업 부서 회의를 통해 현안을 공유하고 수시로 현장을 돌아보며 사업의 완성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이 중 새섬-새연교-천지연폭포 권역에서는 ▷칠십리 야외공연장 리모델링(6억) ▷천지연 난대림 관람로 조명등 정비(4000만 원) ▷새연교 상설 주말 공연 운영(3억) ▷서귀포 천지연 여름 음악제(2000만 원) ▷음식판매자동차(푸드트럭) 운영·관리가 들어 있다. 이중섭거리-명동로 권역에는 ▷상점가 시설 현대화(3억) ▷동네상권발전소(1억 5000만 원) ▷명동로 등 도로 정비(3억 3000만 원) ▷명동로 가로등 정비(2억) ▷서귀포 원도심 페스티벌 운영(3억) ▷서귀포 원도심 문화예술 활성화 지원 사업(2억) ▷작가의 산책길 운영 활성화(2억 7000만 원) ▷차 없는 거리 지정 추진 등을 계획 중이다.
이른바 서귀포 원도심권을 중심으로 한 이들 사업은 가짓수와 예산 모두 올해보다 크게 늘었다. 예산 규모만 하더라도 올해(16억)와 비교해 갑절가량 증가했다. 새연교 상설 주말 공연의 경우엔 편성된 사업비가 10배나 뛰었다. 다만 푸드트럭 등 일부 사업은 법적 문제 등 선결 과제가 놓였다.
서귀포시는 이를 토대로 지난 11일 '문화관광도시 서귀포 만들기'의 실행 계획과 추진 체계를 정비하는 협업 부서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오 시장은 17개 사업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해 제주도의회 심의 등에 철저를 기해 달라고 강조했다.
서귀포시에서는 "속도감 있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매월 협업 부서 회의를 통해 현안을 공유하고 수시로 현장을 돌아보며 사업의 완성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