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업체 85% "매출 감소"... 전망 '부정' 우세
입력 : 2025. 09. 17(수) 16:38수정 : 2025. 09. 17(수) 18:17
오은지기자 ejoh@ihalla.com
가가
중기중앙회제주지역본부 300곳 대상 '실태·정책수요 조사' 실시
경영 최대 애로 요인 '관광객 감소'... 시급한 과제 '가격 불만'
경영 최대 애로 요인 '관광객 감소'... 시급한 과제 '가격 불만'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 제공.
[한라일보] 도내 관광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업계가 가장 큰 경영 애로 요인으로 꼽은 것은 '관광객 감소'였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관광산업 주요 과제 1순위는 '숙박·렌터카·식비 등 가격 불만'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는 도내 중소기업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지난 8월 19일부터 이달 8일까지 실시한 '제주관광업체 실태 및 정책 수요 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향후 효과적인 관광정책 수립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이뤄졌다.
조사 결과 관광업계가 가장 큰 경영 애로 요인으로 꼽은 '관광객 감소'의 응답률은 60.3%였다. 이어 '인건비·운영비 상승'(35%), '임대료 부담'(21.7%), '홍보·마케팅 부족'(14%), '자금 조달 곤란'(12%) 순으로 나타났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숙박·렌터카·식비 등 가격불만'(55%)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이어 '관광 콘텐츠 부족'(43.3%), '계절성 수요 편차'(21.3%), '교통·물류 혼잡'(11.7%) 순이었다.
최근 1년간 매출 추이를 물은 질문에는 응답자의 84.7%가 '감소'라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크게 감소'가 45.0%로 가장 많았다. '다소 감소' 응답률은 39.7%, '변화 없음'은 12%였다. '증가' 응답은 3.3%에 그쳤다. 업종별 감소 응답 비중은 렌터카·운송업체(100%)가 가장 높았고, 이어 문화·체험·관광업(90.5%), 쇼핑·기념품업(87.8%), 음식업(85.5%), 숙박업소(83.1%), 여행사(72.7%) 순이었다.
향후 1~2년 제주 관광업 전망에 대해서는 '부정' 응답이 64.0%('매우 부정' 15.3%, '다소 부정' 48.7%)로, '현상유지'(29.0%)와 '긍정'(7.0%)을 크게 웃돌았다.
현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제주도 관광정책은 '관광 인프라 확충'(57.3%), '마케팅 지원'(29%), '세제감면 지원'(2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사업 확장 또는 변화 계획에 대해서는 '콘텐츠·서비스 개발'(55.1%)과 '온라인 예약·판매 채널 확대'(36.7%)가 상위에 올랐다. '외국인 대상 상품 개발'이라고 답한 응답률은 6.1%였고, 2.1%는 '지역 내 타업종 협업'이라고 답했다.
성상훈 제주중소기업회장은 "지금은 관광지와 숙박업소, 음식점 등의 비정상적인 물가인상과 바가지 요금 근절 등을 통한 신뢰회복을 토대로 관광소비가치에 기반한 질적성장을 이끌어내는 게 중요한만큼 앞으로 업계의 자구노력과 더불어 관광인프라 개선 지원 등 지자체의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는 도내 중소기업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지난 8월 19일부터 이달 8일까지 실시한 '제주관광업체 실태 및 정책 수요 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향후 효과적인 관광정책 수립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이뤄졌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숙박·렌터카·식비 등 가격불만'(55%)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이어 '관광 콘텐츠 부족'(43.3%), '계절성 수요 편차'(21.3%), '교통·물류 혼잡'(11.7%) 순이었다.
![]() |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 제공. |
최근 1년간 매출 추이를 물은 질문에는 응답자의 84.7%가 '감소'라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크게 감소'가 45.0%로 가장 많았다. '다소 감소' 응답률은 39.7%, '변화 없음'은 12%였다. '증가' 응답은 3.3%에 그쳤다. 업종별 감소 응답 비중은 렌터카·운송업체(100%)가 가장 높았고, 이어 문화·체험·관광업(90.5%), 쇼핑·기념품업(87.8%), 음식업(85.5%), 숙박업소(83.1%), 여행사(72.7%) 순이었다.
향후 1~2년 제주 관광업 전망에 대해서는 '부정' 응답이 64.0%('매우 부정' 15.3%, '다소 부정' 48.7%)로, '현상유지'(29.0%)와 '긍정'(7.0%)을 크게 웃돌았다.
현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제주도 관광정책은 '관광 인프라 확충'(57.3%), '마케팅 지원'(29%), '세제감면 지원'(2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사업 확장 또는 변화 계획에 대해서는 '콘텐츠·서비스 개발'(55.1%)과 '온라인 예약·판매 채널 확대'(36.7%)가 상위에 올랐다. '외국인 대상 상품 개발'이라고 답한 응답률은 6.1%였고, 2.1%는 '지역 내 타업종 협업'이라고 답했다.
성상훈 제주중소기업회장은 "지금은 관광지와 숙박업소, 음식점 등의 비정상적인 물가인상과 바가지 요금 근절 등을 통한 신뢰회복을 토대로 관광소비가치에 기반한 질적성장을 이끌어내는 게 중요한만큼 앞으로 업계의 자구노력과 더불어 관광인프라 개선 지원 등 지자체의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