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30년 제주 30년] (50)신제주 변천
입력 : 2019. 04. 11(목) 20:00
홍희선 기자 hshong@ihalla.com
가가
신제주 건설따라 연동 신흥도시로 팽창
주상복합아파트 몰리며 도시 느낌 물씬
주상복합아파트 몰리며 도시 느낌 물씬

제주민속오일시장은 1986년 10월부터 1993년 4월까지 현재 롯데시티호텔 동쪽에서 장이 열렸다. 사진은 당시 제주민속오일시장의 모습. 강희만 기자 photo@ihalla.com
현재 제주도내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비싼 연동 일대는 1970년 중반까지만 해도 농촌이었다. 1977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신제주건설계획이 확정된 뒤 1979년부터 새로운 시가지가 건설되면서 관청, 상가, 주택가 등이 조성되면서 급속히 발전했다. 신제주의 건설로 중산간 지역의 작은 취락들로 구성됐던 이 지역을 대단위 신흥 도시로 팽창했다.
이후 1992년부터 2000년까지 연동과 노형동 일대 94만8816㎡를 택지로 조성해 연동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면서 제주시의 새로운 밀집 주거지역과 상업지로 부상했다. 연동 택지개발지구는 주택건설용지 41%, 상업용지 8.9%, 공공시설용지 50.1% 등으로 구성됐다.
1989년 본보에 게재된 사진 속 제주민속오일시장은 현재 롯데시티호텔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지금은 도두동에 시장 현대화 사업과 함께 이전했고 롯데시티호텔 옆 옛 민속오일시장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신제주의 모습도 비슷한 듯 달라졌다. 1989년만 해도 3~4층 높이의 건물이 주를 이뤘고 8~9층 내외의 건물이 신제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최근에는 주상복합이 빽빽하게 들어서면서 도시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강희만·홍희선기자
![]() |
![]() |
신제주전경(과거-현재). 30년 전만 해도 높은 건물이 없었지만 지금은 빌딩이 즐비해 도시 느낌이 풍기고 있다. 늘어난 고층빌딩 만큼 교통량도 복잡해 보인다. |
1989년 본보에 게재된 사진 속 제주민속오일시장은 현재 롯데시티호텔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지금은 도두동에 시장 현대화 사업과 함께 이전했고 롯데시티호텔 옆 옛 민속오일시장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신제주의 모습도 비슷한 듯 달라졌다. 1989년만 해도 3~4층 높이의 건물이 주를 이뤘고 8~9층 내외의 건물이 신제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최근에는 주상복합이 빽빽하게 들어서면서 도시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강희만·홍희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