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담론]누구를 위한 영어교육도시인가
입력 : 2013. 03. 14(목) 00:00
가가

지난 1월, 영어교육도시 내의 한 국제학교가 주최한 입시설명회가 성황을 이루었다. 참가한 많은 학부모들이 교육프로그램과 학교 환경에 기대와 만족을 나타냈고 예비학생들도 이구동성으로 이 학교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다고 전한다. 나도 그들의 기대와 소망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본교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적용한 것은 논외로 하더라도, 일방적인 학습을 강요하는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학생중심의 수업을 한다는 점, 방과 후에 지겨운 자율학습도 없다는 점, 시험과 평가 중심의 경쟁시스템도 덜하다는 점, 많은 클럽과 동아리 활동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는 점, 쾌적한 교실과 학교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 도저히 일반 학교에서 찾아볼 수 없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저러한 장점들을 일반 학교에도 적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정말 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특권적 혜택을 받은 아이들이다. 우리나라 어느 학생인들 이러한 학교에서 공부하고 싶지 않겠는가? 가능만 하다면 어느 학부모가 이러한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싶지 않겠는가? 그렇다. 문제는 원하는 모든 학부모들이 자녀를 이 학교에 입학시킬 수 없다는 데에 있다. 무려 연간 4000만원이 넘는 학비(등록금, 기숙사비 포함)가 가장 큰 장벽이다. 그래서 일찍부터 '귀족학교'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터이다. 이 학교의 문턱은 0.1%의 부자 자녀들에게만 열려있다. 2개 국제학교에 재학 중인 내국인 학생 중 65%가 서울·경기 등 대도시 출신이고, 서울 출신 중 많은 수의 학생이 강남 3구 출신이라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 기획은 원래 제주가 국제자유도시가 되면 외국인들이 몰려올 것이고, 그들의 자녀를 위한 학교가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했다. 이것의 현실성이 없자, 원래의 계획은 곧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기획으로 바뀌었다. 해외로 빠지는 외화유출을 막자는 취지였던 셈이다. 이러한 기획의도가 성공인지를 평가하기는 이르지만 누가 유학을 가고 왜 가는가? 그 역시 부자들의 자녀일 수밖에 없고, 우리사회에서 상류층으로 진입 혹은 고수하기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함이 아니겠는가.
현행 우리나라 교육관련 법령상 영리법인은 학교설립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는 영리법인이 학교를 설립·운영할 수 있다. 학교사업을 통하여 돈을 벌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제주자치도는 대체 누구를 위하여 돈벌이용 교육사업을 하는 것인가? 도민을 위한 것인지, 도민의 어느 계층을 위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본교에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면서 지금의 적자운영이 언제 손익분기점을 넘어설지도 모른다. 그런데 영리대학으로 사업 확장을 꾀하고, 과실송금을 허용하자는 시도가 반복되고 있다. 이것이 허용되면 도내 대학은 죽고, 영리법인은 그야말로 교육보다는 이윤창출에 발 벗고 나설 것이 명약관화하다. 최근에는 중국어교육도시까지 기획한다는 소문도 들린다.
<강봉수 제주대 교수.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연구원장>
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 기획은 원래 제주가 국제자유도시가 되면 외국인들이 몰려올 것이고, 그들의 자녀를 위한 학교가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했다. 이것의 현실성이 없자, 원래의 계획은 곧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기획으로 바뀌었다. 해외로 빠지는 외화유출을 막자는 취지였던 셈이다. 이러한 기획의도가 성공인지를 평가하기는 이르지만 누가 유학을 가고 왜 가는가? 그 역시 부자들의 자녀일 수밖에 없고, 우리사회에서 상류층으로 진입 혹은 고수하기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함이 아니겠는가.
현행 우리나라 교육관련 법령상 영리법인은 학교설립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는 영리법인이 학교를 설립·운영할 수 있다. 학교사업을 통하여 돈을 벌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제주자치도는 대체 누구를 위하여 돈벌이용 교육사업을 하는 것인가? 도민을 위한 것인지, 도민의 어느 계층을 위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본교에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면서 지금의 적자운영이 언제 손익분기점을 넘어설지도 모른다. 그런데 영리대학으로 사업 확장을 꾀하고, 과실송금을 허용하자는 시도가 반복되고 있다. 이것이 허용되면 도내 대학은 죽고, 영리법인은 그야말로 교육보다는 이윤창출에 발 벗고 나설 것이 명약관화하다. 최근에는 중국어교육도시까지 기획한다는 소문도 들린다.
<강봉수 제주대 교수.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