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지역 상생 발전 용역 4년 만에 재개
입력 : 2025. 02. 12(수) 11:31수정 : 2025. 02. 13(목) 12:36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보완 용역 발주 계획 공개 이달 말 정식 공고
기본 발전구상안 이주대책 교통체게 등 제시
제주 제2공항 조감도.
[한라일보]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과 연계해 지역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용역이 4년 만에 재개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1일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제주 제2공항 연계 도민이익 및 상생발전 기본계획 보완 용역 발주 계획'을 공고했다.

이 용역은 제2공항과 연계해 공항 배후 도시 격인 성산읍 지역의 상생 발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전임 도정이 지난 2019년 추진한 용역을 승계해 보완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2019년 용역은 의견 수렴이 더 필요하다는 이유로 착수 2년 만에 중단됐다.

2019년 용역은 주로 제2공항 건설 예정지에 속한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등 5개 마을을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재추진되는 보완용역은 성산읍 전 지역으로 범위를 넓혀 발전 전략을 수립한다

제주도가 공개한 과업지시서에 따르면 앞으로 용역진은 성산읍 전체 마을의 개발 잠재력과 개발 가용지, 지역 여건을 분석해 기본 발전 구상안을 제시한다. 또 용역을 통해 제2공항 부지로 편입돼 이사를 가야할 주민들의 이주 방안과 재정착 방안도 마련한다.

이와함께 제2공항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대중교통환승센터·환승정류장과 연계한 교통체계 구상을 비롯해 ▷제2공항 개발로 단절되는 주변 도로와의 연계 방안 ▷신 교통수단 도입 방안 ▷외곽순환도로 규모 설정과 대안 등 교통 분야 계획도 용역을 통해 제시된다.

제주도는 과업지시서에서 물류단지 조성, 신성장 사업,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등 신성장 기반 구축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도 마련하라고 주문했으며 이 과정에서 농업단지, 농공단지, 스마트팜 조성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시개발사업, 임대주택개발사업, 정비사업, 소규모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도시계획시설 등 각 법률에 따라 어떤 개발이 가장 적합한지 검토하고, 비도시지역에서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개발행위허가 제한 또는 토지거래허가 구역 지정 등을 난개발 방지 계획도 용역에서 제시된다.

이밖에 ▷관광객 유치 방안 ▷성산포항 활성화 방안 ▷교육·의료·문화 복지시설 확충방안 ▷지역 주민 개발 참여 방안 등이 용역 과제에 포함됐다.

제주도는 보완 용역을 이달 말쯤 공고해 용역 수행업체 선정에 나선다. 용역 예산은 2억8000여만원, 용역 기간은 계약일로부터 18개월 간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관련기사
오영훈 지사 "제주 제2공항 '에어시티' 조성 재검토"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8 개)
이         름
이   메   일
8205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용역비.두기관 중복예산.공금횡령?? 03-29 02:37삭제
제주도청에서 두차례 걸쳐 용역추진..
ㅡ성산읍 전체 2공항주변 마을발전 및
상생방안 용역은 허위서류.공금횡령 ??
ㅡ 5개리→성산읍 전역 확대
(용역비: 1차:590백만원ㅡ 2차:280백만원)

✔제주지방항공청설계서
용역비.두기관 중복예산.공금횡령?? 03-29 02:37삭제
제주도청에서 두차례 걸쳐 용역추진..
ㅡ성산읍 전체 2공항주변 마을발전 및
상생방안 용역은 허위서류.공금횡령 ??
ㅡ 5개리→성산읍 전역 확대
(용역비: 1차:590백만원ㅡ 2차:280백만원)

✔제주지방항공청설계서
윤석열.흔적 지워라 03-02 22:04삭제
2공항 고시 취소하라
@ 조류 충돌
하도~표선 철새도래지4곳 벨트.4~6km
법정보호40종 56,000여마리.
양식장 70곳 먹이풍부.강제이주 불가.
조류충돌 제주공항 대비 8배이상
까마귀40~50만미조사.
@ 항공소음
소음 등고선 8.5km범위 표선~성산
구좌읍 민가.해상수중소음 예방책 없다

@ 법정 보호생물
맹꽁이.두견이.저어새.갈매기.남방큰고래
법정멸종위기종 개체별 이주대책없다
@ 숨골
숨골 153곳.수산동굴 조사누락
지하수 보호대책 없다
국가전문기관 부정적 의견(취소)
@ 오름 27개 절개
@ 1단계 4.5조 공군가지 사업종료
ㅡ2단계는 도청 직영사업
은 지방비 1.5조 사업진행불투명
도민 02-17 17:40삭제
kbs "창"하늘에 묻다
ㅡ무안공항에서 조류충돌로
제주항공 179명 참사 방송중에서
ㅡ제주 2공항 조류충돌 위험성이
가장높은 공항이라고 방송나왔다

제주항공 사고기, 조류 충돌 확인…
국토부 "엔진서 새 깃털 발견"
2공항 ~~쪼개기 공사의 꼼수 ~~ 02-13 13:48삭제
2공항 ~~쪼개기 공사의 꼼수 ~~
● 1단계
ㅡ활주로,계류장,화물터미널,교통센터등
최소한 시설한후. 공군기지 전용


● 2단계
ㅡ공항과 연계된 문화·쇼핑, 컨벤션, 호텔.
계류장.여객터미널.화물터미널 확장에
따른 시설비와 토지보상비 :지방비투입


● 도청에서 농지 강제매수는 불법이다
ㅡ매수 용도가 수익형
이어서 농지 강제매수는 불법이다
ㅡ예례휴양단지.토지강제 매수; 패소사례
대법원 판례보라
도민 02-12 16:47삭제
제주제2공항 하루라도 빨리 착공하기를 기원합니다

제주 영어교육도시 추가학교
상급종합병원 지정
관광청설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도로
제주헬스케어타운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신화역사공원 코스트코
제주도의 미래를 위해서 부탁드립니다
2공항 주변 발전 용역비 ㅡ1차 50 02-12 16:07삭제
2공항 주변 발전 용역비
ㅡ1차 500,000,000원 투입해서
용역서 서류 받고
ㅡ이번엔 추가로 280,000,000원 지급..
더 주려는 속샘..용역서 짜집기해서..
도청에 서류 보내면 통과 될꺼 분명하다?
ㅡ짜집기 용역 사업 취소하라.ㅡ
지하수는 70십만명의 생명수입니다.. 02-12 15:59삭제
지하수는 70십만명의 생명수입니다..
성산.2공항 주변 150여개 숨골이 산재함
성산 지역엔 큰하천이 없어 숨골로 유수한다.

숨골하나면..내창 하나와 같고,
숨골의 가치를 생각해라
ㅡ도로가 물로 막히면
물이 도로에서 내려오는데 잘 빠져나간다
ㅡ어디로 빠저 나가냐...숨골이다
ㅡ2공항과 주변개발로 환경이 파괴로
도민을 간접 살인하는 행위와 같다
ġ/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