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공항, 소방청 안전진단서 무더기 지적
입력 : 2023. 09. 27(수) 16:10수정 : 2023. 10. 01(일) 15:10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가가
스프링클러 헤드 미설치 등 총 48건 대구공항 다음으로 많아.

[한라일보] 한해 30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용하는 제주국제공항이 소방청이 실시하는 소방안전 진단 평가에서 무더기 지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소방청이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 화재예방 안전진단’에서 제주공항은 총 48건의 지적을 받았다.
특히 스프링클러 헤드 미설치, 피난구 유도등 미설치, 도시가스 배관 부식 등 소방시설에 대한 지적이 41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밖에 전기 4건, 가스 2건, 건축 1건 등의 지적을 받았다.
무더기 지적을 받은 원인으로는 공항 내부 구조 변경 과정에서 소방시설이 법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점이 꼽혔다.
또 제주공항은 전국 11개 공항 중 대구공항(58건)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지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제주공항은 안전진단 등급 평가에서 양호에 해당하는 B등급을 분류됐다.
송 의원은 "제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2970만명으로 한국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곳임에도 이런 진단 결과를 받아 위기감을 느꼈다"면서 "특히 제주공항은 지난 1983년 지어진 청사를 1991년, 2006년, 2012년, 2019년 등 개·증축 4회를 거친 탓에 화재 안전설비가 미흡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의 입국이 많은 곳이어서 하루라도 빨리 설비 개선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7일 소방청이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 화재예방 안전진단’에서 제주공항은 총 48건의 지적을 받았다.
무더기 지적을 받은 원인으로는 공항 내부 구조 변경 과정에서 소방시설이 법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점이 꼽혔다.
또 제주공항은 전국 11개 공항 중 대구공항(58건)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지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제주공항은 안전진단 등급 평가에서 양호에 해당하는 B등급을 분류됐다.
송 의원은 "제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2970만명으로 한국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곳임에도 이런 진단 결과를 받아 위기감을 느꼈다"면서 "특히 제주공항은 지난 1983년 지어진 청사를 1991년, 2006년, 2012년, 2019년 등 개·증축 4회를 거친 탓에 화재 안전설비가 미흡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의 입국이 많은 곳이어서 하루라도 빨리 설비 개선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