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칭다오 화물선 항로 우여곡절 끝에 허가
입력 : 2025. 08. 01(금) 15:02수정 : 2025. 08. 04(월) 08:34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해양수산부 전날 신규 항로 개설 동의 이르면 9월초 취항 예정
道, 지난해 12월 허가 예상하고 크레인 미리 배치했다가 낭패
우여곡절 끝에 제주~칭다오 해운 항로가 개설돼 이르면 오는 9월 중국 컨테이너 화물선이 취항한다.

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해양수산부는 제주~칭다오 컨테이너선 항로 개설에 동의하고 조만간 중국 측에 이런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앞서 중국의 모 선사는 지난해 10월 자국 정부로부터 제주~칭다오 신규 항로 개설 허가를 받은 뒤 그해 11월 8일 "한국도 항로 개설에 동의해 달라"고 신청했다. 제주도는 중국으로 막바로 갈 수 있는 화물선 뱃길이 없어 물류 경쟁력이 떨어지자 지난 2023년부터 칭다오항이 위치한 중국 산둥성 측과 항로 개설을 위해 협의해왔다.

중국 선사가 자국 허가 절차를 마치자 제주도는 우리 정부도 그해 12월쯤 항로 개설을 허가할 것으로 보고 제주항에 통관장과 보세구역을 설치한 데 이어 그달 20일 입항 행사도 준비했다.

그러나 해수부는 제주~칭다오 항로에 대한 영향평가가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영향평가는 신규 항로가 기존 항로 물동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절차다.

이후 8개월 만에 해수부 허가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되며 제주도와 중국을 잇는 정기 화물선 항로 신설이 가시화했다. 제주항이 지난 1968년 무역항으로 지정된 지 57년 만의 일이다.

중국 컨테이너선 실제 취항 시점은 해상운임 공표, 운항계획 신고 수리 절차가 끝나는 9월 초쯤으로 전망된다. 중국 선사는 7500t급, 7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적재 규모의 화물선을 연간 52차례 왕복 운항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중국 정기화물선이 취항하면 앞으로는 부산항을 거치지 않고 바로 중국에 수출할 수 있게 돼 물류비의 42%를 절감하고 운송 시간도 2일 가량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항로 개설 과정에서 불필요한 혈세가 낭비돼 비판도 만만치 않다.

제주도가 지난해 12월 허가가 이뤄질 줄 알고 컨테이너를 옮길 크레인을 미리 제주항에 배치하면서 빚어진 문제로, 해당 크레인은 한번도 운용된 적이 없지만 하역회사에는 6억원의 손실보전금을 내야한다

또 중국 선사가 화물선 운항 과정에서 손실을 보면 이를 제주도가 보전하기로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충분한 물동량을 확보해야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제주도는 취항 초기엔 물동량이 손익분기점보다 적을 것으로 보고 이미 41억원의 손실보전금을 올해 예산에 반영한 상태다. 제주도는 중국 화물선이 연간 1만TEU를 운송해야 손익분기점을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편 칭다오에서 제주로 수출되는 주요 품목은 건설자재를 포함해 제주삼다수와 용암해수 페트병 원료다. 제주에서는 용암수가 칭다오로 주로 수출된다.

오영훈 지사는 이번 항로 개설 허가에 대해 "2023년부터 산둥성과의 교류협력을 전략적으로 추진해온 결과"라며, "지방정부의 외교 노력으로 제주항을 동북아 물류거점으로 육성하는 핵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4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ġ/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