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사이트 접속·불편한 말 들어도 성폭력인지 몰라요"
입력 : 2022. 12. 04(일) 15:15
강다혜기자 dhkang@ihalla.com
가가
여가원, 최근 '제주지역 청소년 성인식 조사' 연구보고서 발간
도내 재학생 및 학교밖 청소년 6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 "디지털 성폭력 인지 방법 교육·구체적인 피임법" 요구 목소리 높아
도내 성인지 교육 여전히 이론·설명교육 중심.. 체험교육 부족
도내 재학생 및 학교밖 청소년 6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 "디지털 성폭력 인지 방법 교육·구체적인 피임법" 요구 목소리 높아
도내 성인지 교육 여전히 이론·설명교육 중심.. 체험교육 부족

[한라일보] "일상생활 속에서 성폭력이 될 수도 있는데 인지하지 못해서 긴가민가 하는 경우가 있어요", "일반적인 사랑인지 데이트 폭력이나 가스라이팅인지 구별할 수 있는 교육도 필요해요", "(성교육을 받았지만) 동영상 시청으로 대체하다 보니 모든 친구들이 그 시간에 자요. 기억에 잘 남지 않아요"
청소년들의 '성인권'에 대한 인식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들은 성 지식과 성별 고정관념 해소에 대한 내용 뿐 아니라 디지털성범죄 인지 교육, 신체적 변화, 피임도구 활용법 등 실제 필요한 내용들을 공식 교육과정 내에서 교육받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선 여전히 이론·설명 중심의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교육방법의 변화와 함께 주제와 내용도 다각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최근 '제주지역 청소년 성인권 인식조사'(이연화 연구위원)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디지털 기기의 이용시간이 늘어나며 청소년들이 SNS 등으로부터 음란물 등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실제 지난 3년 간 10대 대상 디지털 성범죄가 급증했으며 10~20대의 젠더 갈등은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연구진은 진단했다.
연구진은 도내 청소년들의 성교육 내용을 확인하고 성인권 및 성평등 의식, 성교육 욕구 등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도내 중·고등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등 총 600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대상자 600명 중 대부분인 583명(97.2%)이 성인권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성인권 교육 운영 횟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주로 교내에서 외부 성교육강사로부터 1년 동안 2~5회 정도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은 학교별로 보건교사 배치 유무에 따라 각각 10차시·6차시 이상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성인권 교육경험이 도움이 됐는지를 물은 결과 '약간 도움이 됐다'가 56.1%로 가장 많았다. 또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 25.6%가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 혹은 '재미가 없어서'(18.0%), '필요한 정보를 주지 않아서'(15.0%), '일방적으로 강의만 해서'(10.5)를 선택했다.
또 성 지식·정보 접근 관련 질문에서 청소년들은 '학교 성교육'(64.3%)을 통해 가장 많이 배운다고 응답했지만, 과반수 이상인 55.5%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얻은 성관련 지식에 대해 "유용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제기됐다.
디지털 성폭력 경험을 묻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약 10%가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고 약 5%가 가해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단체 대화방에서 당사자의 동의나 허락 없이 사진이 올라와도 친구들과 함께 재밌어 한다'라는 항목에 21%의 남학생과 12.2%의 여학생이 '그렇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이버공간에서의 성인권 존중 교육 필요성이 제기됐다.
성인권 교육 관련 어떤 내용을 배우길 원하는지 물은 항목에서 청소년들은 '성인권, 성적권리 등에 대한 지식'(32%)을 가장 많이 선택한 가운데 남학생은 '피임', 여학생은 '평등하고 존중하는 남녀관계'를 다수 응답했다.
또 성인권 교육 시간에는 전문가로부터의 설명 및 체험·토론 방식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는데, 현행 수업방식은 설명식 강의(65%)가 주를 이뤘고 소집단 토론 및 견학, 참여학습은 1%대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청소년들의 성인권 인식 및 욕구 실태조사가 정기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중·고등학생 대상 성인권 체험형 교재가 개발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보건 및 담당교사와 일반교사 대상 성인권 교육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최근 '제주지역 청소년 성인권 인식조사'(이연화 연구위원)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디지털 기기의 이용시간이 늘어나며 청소년들이 SNS 등으로부터 음란물 등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실제 지난 3년 간 10대 대상 디지털 성범죄가 급증했으며 10~20대의 젠더 갈등은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연구진은 진단했다.
연구진은 도내 청소년들의 성교육 내용을 확인하고 성인권 및 성평등 의식, 성교육 욕구 등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도내 중·고등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등 총 600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대상자 600명 중 대부분인 583명(97.2%)이 성인권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성인권 교육 운영 횟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주로 교내에서 외부 성교육강사로부터 1년 동안 2~5회 정도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은 학교별로 보건교사 배치 유무에 따라 각각 10차시·6차시 이상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성인권 교육경험이 도움이 됐는지를 물은 결과 '약간 도움이 됐다'가 56.1%로 가장 많았다. 또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 25.6%가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 혹은 '재미가 없어서'(18.0%), '필요한 정보를 주지 않아서'(15.0%), '일방적으로 강의만 해서'(10.5)를 선택했다.
또 성 지식·정보 접근 관련 질문에서 청소년들은 '학교 성교육'(64.3%)을 통해 가장 많이 배운다고 응답했지만, 과반수 이상인 55.5%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얻은 성관련 지식에 대해 "유용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제기됐다.
디지털 성폭력 경험을 묻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약 10%가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고 약 5%가 가해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단체 대화방에서 당사자의 동의나 허락 없이 사진이 올라와도 친구들과 함께 재밌어 한다'라는 항목에 21%의 남학생과 12.2%의 여학생이 '그렇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이버공간에서의 성인권 존중 교육 필요성이 제기됐다.
성인권 교육 관련 어떤 내용을 배우길 원하는지 물은 항목에서 청소년들은 '성인권, 성적권리 등에 대한 지식'(32%)을 가장 많이 선택한 가운데 남학생은 '피임', 여학생은 '평등하고 존중하는 남녀관계'를 다수 응답했다.
또 성인권 교육 시간에는 전문가로부터의 설명 및 체험·토론 방식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는데, 현행 수업방식은 설명식 강의(65%)가 주를 이뤘고 소집단 토론 및 견학, 참여학습은 1%대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청소년들의 성인권 인식 및 욕구 실태조사가 정기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중·고등학생 대상 성인권 체험형 교재가 개발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보건 및 담당교사와 일반교사 대상 성인권 교육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