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논단]걷기 열풍에 데이지 않기
입력 : 2010. 12. 16(목) 00:00
가가

몇 년 사이 온 나라에 걷기 열풍이 대단하다.
물론 아직도 걷기보다는 타기를 더 즐기는 시대임은 분명하지만 굳이 무거운 배낭매고 땀 흘리며 먼 길을 걷기위해 나선 사람들이 줄을 잇고 있다.
오랜 세월 사냥감을 잡기위해 걷거나 뛰어다니고 때로는 맹수로부터 목숨을 건지기 위해 달렸듯이 걷는 일은 살아가는 기본적 행위였고 새로운 일이 아니지만 지금 우리나라 곳곳에서 일고 있는 걷기열풍은 분명 다른 차원으로 바라볼 일이다.
생존을 위한 경제활동과정에서 걷는 일이 노동이라면 걸으면서 휴식과 행복을 느끼는 행위는 여행이다.
걷기열풍이 일고 있는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가능하나 빠른 성장만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생활양식에 지친 사람들이 건강과 휴식을 찾고 인간소외로부터 벗어나 정신적 행복을 찾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행위로 보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걷기여행은 자연과 인간으로부터 소외된 현대인들이 길을 따라 걷는다는 인간적 행위를 바탕으로 느림이라는 시간적 여유속에 자연과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며 학습하기를 즐기는 여행이라 정의할 수 있다.
'깃발관광'으로 불리던 옛 관광에 비해 걷기여행은 자연환경과 문화에 대한 보존을 원칙으로 이뤄지는 새로운 관광트랜드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걷기여행이나 생태관광이 주는 의미가 좋다 해도 삶에 대한 성찰과 고민을 바탕으로 생존양식에 변화가 없다면 또 다른 자연과 인간, 문화에 대한 소비적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화석연료가 안겨주는 편안함과 인간중심적 삶에 대한 반성이 아닌 또 다른 유행에 대한 흥미와 만족추구, 부가가치를 낳는 산업으로만 남는 것이다.
우려는 벌써부터 현실로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걷기열풍따라 이뤄지는 길 만들기가 난립이다. 제주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로 볼 때도 걷기여행길은 제주올레길을 비롯해 지리산 둘레길, 백제역사도보길, 백두대간과 동해를 잇는 바우길, 대관령 옛길 따위로 다 헤아릴 수 없다. 정부와 지자체, 마을까지 나서며 온 나라 길이란 길은 다 이름을 올릴 태세다.
제주도도 내년 281억원을 들여 50개 탐방로 500㎞을 만든다고 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500㎞라면 제주도 해안을 두 번 도는 길이다.
제주도로서는 걷기열풍이 아무리 가뭄에 비 만나듯 반가운 일이라해도 몇 개월 사이 탐방로 500㎞를 만들겠다니 졸속과 비효율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길은 스마트폰처럼 만들어 놓고 요란히 홍보하며 팔리기를 기다리는 상품이 아니다. 걷는 여행이 경관과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매력이 있다면 자연경관과 문화를 보존하는 것은 기본이다.
하지만 아무리 자연과 문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해도 걷기여행도 수용한계를 넘어서는 탐방객이 있다면 부작용이 일어난다. 더욱이 생태와 문화적 영향에 대한 검토조차 없이 경쟁적으로 이뤄지는 걷기여행객 유치전은 쓸 만한 곳이면 다 길을 내고 탐방 시설을 해야하는 상황으로 이어진다.
찾는 사람이 있고 경관이 아름답다고 해서 한라산 둘레나 해안과 숲에도 무턱대고 길을 낼 일은 아니다.
지역주민 피해와 소외도 해결해야할 일이다.
마을길은 그곳에 터잡고 살던 사람들이 걸으면서 만들어낸 길이고 또 앞으로도 걸어야할 길이다.
누군가 그 길을 빼앗거나 불편을 준다면 삶에 대한 성찰과 반성이 기본인 걷기여행은 또 다른 사치와 파괴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은 가지 말아야 할 길이다.
<김효철 (사)곶자왈사람들 사무처장>
물론 아직도 걷기보다는 타기를 더 즐기는 시대임은 분명하지만 굳이 무거운 배낭매고 땀 흘리며 먼 길을 걷기위해 나선 사람들이 줄을 잇고 있다.
오랜 세월 사냥감을 잡기위해 걷거나 뛰어다니고 때로는 맹수로부터 목숨을 건지기 위해 달렸듯이 걷는 일은 살아가는 기본적 행위였고 새로운 일이 아니지만 지금 우리나라 곳곳에서 일고 있는 걷기열풍은 분명 다른 차원으로 바라볼 일이다.
걷기열풍이 일고 있는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가능하나 빠른 성장만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생활양식에 지친 사람들이 건강과 휴식을 찾고 인간소외로부터 벗어나 정신적 행복을 찾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행위로 보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걷기여행은 자연과 인간으로부터 소외된 현대인들이 길을 따라 걷는다는 인간적 행위를 바탕으로 느림이라는 시간적 여유속에 자연과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며 학습하기를 즐기는 여행이라 정의할 수 있다.
'깃발관광'으로 불리던 옛 관광에 비해 걷기여행은 자연환경과 문화에 대한 보존을 원칙으로 이뤄지는 새로운 관광트랜드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걷기여행이나 생태관광이 주는 의미가 좋다 해도 삶에 대한 성찰과 고민을 바탕으로 생존양식에 변화가 없다면 또 다른 자연과 인간, 문화에 대한 소비적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화석연료가 안겨주는 편안함과 인간중심적 삶에 대한 반성이 아닌 또 다른 유행에 대한 흥미와 만족추구, 부가가치를 낳는 산업으로만 남는 것이다.
우려는 벌써부터 현실로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걷기열풍따라 이뤄지는 길 만들기가 난립이다. 제주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로 볼 때도 걷기여행길은 제주올레길을 비롯해 지리산 둘레길, 백제역사도보길, 백두대간과 동해를 잇는 바우길, 대관령 옛길 따위로 다 헤아릴 수 없다. 정부와 지자체, 마을까지 나서며 온 나라 길이란 길은 다 이름을 올릴 태세다.
제주도도 내년 281억원을 들여 50개 탐방로 500㎞을 만든다고 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500㎞라면 제주도 해안을 두 번 도는 길이다.
제주도로서는 걷기열풍이 아무리 가뭄에 비 만나듯 반가운 일이라해도 몇 개월 사이 탐방로 500㎞를 만들겠다니 졸속과 비효율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길은 스마트폰처럼 만들어 놓고 요란히 홍보하며 팔리기를 기다리는 상품이 아니다. 걷는 여행이 경관과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매력이 있다면 자연경관과 문화를 보존하는 것은 기본이다.
하지만 아무리 자연과 문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해도 걷기여행도 수용한계를 넘어서는 탐방객이 있다면 부작용이 일어난다. 더욱이 생태와 문화적 영향에 대한 검토조차 없이 경쟁적으로 이뤄지는 걷기여행객 유치전은 쓸 만한 곳이면 다 길을 내고 탐방 시설을 해야하는 상황으로 이어진다.
찾는 사람이 있고 경관이 아름답다고 해서 한라산 둘레나 해안과 숲에도 무턱대고 길을 낼 일은 아니다.
지역주민 피해와 소외도 해결해야할 일이다.
마을길은 그곳에 터잡고 살던 사람들이 걸으면서 만들어낸 길이고 또 앞으로도 걸어야할 길이다.
누군가 그 길을 빼앗거나 불편을 준다면 삶에 대한 성찰과 반성이 기본인 걷기여행은 또 다른 사치와 파괴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은 가지 말아야 할 길이다.
<김효철 (사)곶자왈사람들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