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여성 4명 중 1명 "성희롱 등 성폭력 피해 경험"
입력 : 2025. 09. 17(수) 11:14수정 : 2025. 09. 17(수) 11:44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가가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 지역 젠더폭력 실태 조사' 결과 공개
일상 속 젠더폭력 피해 두려움 여성 2.85점으로 전국 조사 상회
일상 속 젠더폭력 피해 두려움 여성 2.85점으로 전국 조사 상회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공
[한라일보] 도내 19세 이상 성인 여성 4명 중 1명은 성희롱 등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지난 5월 15~6월 20일 15세 이상 남녀 1030명(19세 이상은 9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주 지역 젠더폭력 실태 조사'(연구책임자 이연화 선임연구위원) 결과다.
17일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공개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 지역 여성은 전국 여성보다 젠더폭력(주로 여성에게 편중되어 발생하는 여성폭력)에 대한 두려움을 더 크게 느꼈다. '평소 일상생활에서 젠더폭력 피해 두려움'에 대한 조사에서 제주 여성의 두려움은 평균 2.85점(5점 만점)으로 '2024년 여성폭력 실태 조사'(여성가족부)의 전국 여성(2.64점)보다 높았다.
평생 성폭력 피해 경험(성인 대상)에 대한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20.5%가 성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여성이 26.5%로 남성(14.3%)보다 갑절가량 높았다. 지난 1년간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3.7%로 집계됐는데 여성 5.4%, 남성 2.0%로 여성의 피해 비율이 더 높게 나왔다. 성폭력 유형에는 교제 폭력, 스토킹, 성희롱, 성추행, 강간 또는 강간 미수, 디지털 성폭력이 포함된다.
성희롱 피해를 경험했다는 68명 중 40.5%는 직장 상사와 동료에게 피해를 입었다고 했다. 성추행 피해자 47명 중 31.1% 역시 직장 상사와 동료에게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제 폭력을 경험했다는 비율은 성인 응답자의 6.0%인 61명이었다. 피해자는 주로 여성(85%)이었고 남성은 15%에 그쳤다.
디지털 성폭력을 경험한 성인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13.9%였다. 가해자와의 관계는 '모르는 사람'이 58.3%로 가장 많았다. 또한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중 54.8%는 어떠한 대처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 지역 젠더폭력 예방과 대응을 위한 정책으로 ▷젠더폭력 대응 통합 온라인 플랫폼 구축 ▷가해자 처벌과 재범 방지를 위한 법적 제도 강화 ▷남성 젠더폭력 예방 전문가 양성 ▷'세이프 스테이(Safe Stay)' 인증 시스템 구축 ▷직장 내 성희롱·성추행 예방 교육의 효과성 연구 ▷디지털 성폭력 예방 교육 확대를 제시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의 신뢰 구간은 95%, 표본 오차는 ±3.1%p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평생 성폭력 피해 경험(성인 대상)에 대한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20.5%가 성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여성이 26.5%로 남성(14.3%)보다 갑절가량 높았다. 지난 1년간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3.7%로 집계됐는데 여성 5.4%, 남성 2.0%로 여성의 피해 비율이 더 높게 나왔다. 성폭력 유형에는 교제 폭력, 스토킹, 성희롱, 성추행, 강간 또는 강간 미수, 디지털 성폭력이 포함된다.
성희롱 피해를 경험했다는 68명 중 40.5%는 직장 상사와 동료에게 피해를 입었다고 했다. 성추행 피해자 47명 중 31.1% 역시 직장 상사와 동료에게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제 폭력을 경험했다는 비율은 성인 응답자의 6.0%인 61명이었다. 피해자는 주로 여성(85%)이었고 남성은 15%에 그쳤다.
디지털 성폭력을 경험한 성인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13.9%였다. 가해자와의 관계는 '모르는 사람'이 58.3%로 가장 많았다. 또한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중 54.8%는 어떠한 대처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 지역 젠더폭력 예방과 대응을 위한 정책으로 ▷젠더폭력 대응 통합 온라인 플랫폼 구축 ▷가해자 처벌과 재범 방지를 위한 법적 제도 강화 ▷남성 젠더폭력 예방 전문가 양성 ▷'세이프 스테이(Safe Stay)' 인증 시스템 구축 ▷직장 내 성희롱·성추행 예방 교육의 효과성 연구 ▷디지털 성폭력 예방 교육 확대를 제시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의 신뢰 구간은 95%, 표본 오차는 ±3.1%p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