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기초단체 국정과제 포함됐지만…혼란은 지속
입력 : 2025. 08. 13(수) 16:59수정 : 2025. 08. 18(월) 09:00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가가
"5극 수준 3특 육성 위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
장관 주민투표 요구 시점 및 구체적인 도입 시기 언급 없어
장관 주민투표 요구 시점 및 구체적인 도입 시기 언급 없어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5년간 추진하는 국정과제에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전제 조건인 주민투표 요구 시점과 구체적인 도입 시기에 대해선 언급되지 않아 행정체제개편을 둘러싼 혼란은 해소하지 못했다.
13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마련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의 세부 실천 전략에 '지역 주도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이 명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는 123개 국정과제 중 49번 '5극3특'과 균형성장 과제에 속해 있다.
'5극3특'은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 균형 발전 전략으로 전국을 5개 초광역권(극)과 3개 특별자치도(특)로 재편해 각 권역을 육성하고 자치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정기획위는 "공공서비스 광역화를 위한 공공협약제도 도입과 지역 주도 행정체제 개편 추진을 통해 주민의 삶과 지역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며 5극 수준의 3특(제주, 전북, 강원) 육성을 위해 특별법 개정, 특화성장지역 조성 지원,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을 세부 실천전략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 시기, 주민투표 요구 시점에 대한 내용은 국정과제에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동제주시와 서제주시, 서귀포시 등 제주형 기초자치단체를 내년 7월부터 도입하기 위해선 물리적으로 이 달 안에 행정안전부 장관이 주민투표를 요구해야 한다며 데드라인을 정해두고 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제주시 을)이 지난해 11월 제주시 행정구역을 동·서로 분리하는 것에 반대하는 이른바 '제주시 쪼개기 방지법'을 발의한 상태이고,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같은 행정구역 쟁점이 지역 사회에서 해소돼야 주민 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내년 7월 도입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도의회 내부에서도 '내년 7월 도입을 포기해야 한다' '행안부 결정을 계속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또 이상봉 도의회 의장이 제주시 행정구역을 2개로 분리하는 개편안에 대해 찬반을 물어 결정하자며 20일 여론조사를 추진하기로 하는 등 제주형 기초자치단체를 놓고 도민 사회가 대혼란을 겪고 있다.
제주도 고위 공직자는 국정과제에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이 명시됐지만 구체적인 도입 시기와 주민 투표 요구 시점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에 대해 "국정과제에 대해선 각 정부 부처가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마련해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며 "(국정과제에 반영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행안부의 시행 로드맵이 아직 나올 시기는 아니지만 어쨌거나 가속도가 붙었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주형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도입 시기가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아직 8월 말까진 시간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정부와 협의하며 계속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5극3특'은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 균형 발전 전략으로 전국을 5개 초광역권(극)과 3개 특별자치도(특)로 재편해 각 권역을 육성하고 자치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정기획위는 "공공서비스 광역화를 위한 공공협약제도 도입과 지역 주도 행정체제 개편 추진을 통해 주민의 삶과 지역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며 5극 수준의 3특(제주, 전북, 강원) 육성을 위해 특별법 개정, 특화성장지역 조성 지원,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을 세부 실천전략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 시기, 주민투표 요구 시점에 대한 내용은 국정과제에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동제주시와 서제주시, 서귀포시 등 제주형 기초자치단체를 내년 7월부터 도입하기 위해선 물리적으로 이 달 안에 행정안전부 장관이 주민투표를 요구해야 한다며 데드라인을 정해두고 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제주시 을)이 지난해 11월 제주시 행정구역을 동·서로 분리하는 것에 반대하는 이른바 '제주시 쪼개기 방지법'을 발의한 상태이고,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같은 행정구역 쟁점이 지역 사회에서 해소돼야 주민 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내년 7월 도입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도의회 내부에서도 '내년 7월 도입을 포기해야 한다' '행안부 결정을 계속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또 이상봉 도의회 의장이 제주시 행정구역을 2개로 분리하는 개편안에 대해 찬반을 물어 결정하자며 20일 여론조사를 추진하기로 하는 등 제주형 기초자치단체를 놓고 도민 사회가 대혼란을 겪고 있다.
제주도 고위 공직자는 국정과제에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이 명시됐지만 구체적인 도입 시기와 주민 투표 요구 시점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에 대해 "국정과제에 대해선 각 정부 부처가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마련해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며 "(국정과제에 반영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행안부의 시행 로드맵이 아직 나올 시기는 아니지만 어쨌거나 가속도가 붙었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주형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도입 시기가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아직 8월 말까진 시간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정부와 협의하며 계속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