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노인들 "한 달 27만원 받아도 일할 수 있다면…"
입력 : 2022. 11. 10(목) 17:09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가가
제주시, 직영 공공형 노인 일자리 참여 1159명 설문
80대 참여자가 627명 최다… "만족한다" 77% 응답
"경제적 도움 등 노인 복지 기여… 급여 인상 건의"
80대 참여자가 627명 최다… "만족한다" 77% 응답
"경제적 도움 등 노인 복지 기여… 급여 인상 건의"

노인 일자리 참여자 교육 장면. 사진=제주시
[한라일보] 주 3회, 하루 3시간, 월 급여 27만원. 제주시지역에서 이 같은 공공형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8명가량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용돈 마련 등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고 바깥일을 하며 건강도 유지된다는 것이다.
10일 제주시에 따르면 관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8월 말 기준 7만6359명. 이 중에서 올해 7개 기관 총 66개의 노인 일자리 사업단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를 얻은 경우는 총 6894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제주시에서 직영하는 공공형 노인 일자리인 아름다운 제주 만들기, 용천수를 부탁해, 어르신 복지 도우미 등 3개 사업 참여자 총 1159명(응답자 1150명)을 개별 면접해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참여자를 연령별로 보면 80~85세 미만 374명, 75~80세 미만 259명, 85~90세 미만 253명, 70~75세 미만 126명, 90세 이상 84명 등이다.
만족도를 물었더니 '매우 만족' 37%, '만족' 40%를 나타냈다. '보통'이라는 비율은 22%였다. 일자리 사업 참여 이유로는 용돈 마련(64%), 건강 유지(16%), 사회 활동 참여(5%) 순이었다. 참여 효과로는 경제적 도움(57%), 건강 증진(26%), 자기 발전과 성취감(8%), 긍정적 성격 변화(3%)를 차례로 꼽았다. 응답자의 87%는 일자리 사업 재참여를 희망했다.
이들이 참여하는 공공형 노인 일자리는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사업단 등에 비해 활동급여가 적지만 사회 활동 성격으로 전문 경력이 없어도 참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참여 연령이 높고 신청자도 몰리는 편이다. 올해 제주시의 노인 일자리 예산 262억6000만원 중 공공형 사업비는 83%에 이른다.
이와 관련 제주시 관계자는 "공공형 노인 일자리 사업은 활동비가 적지만 건강 개선 등 노인복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작년에 비해 만족도도 소폭 올랐다"면서 "참여자들이 활동 시간을 늘리고 급여도 올려달라는 건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제주시에서 직영하는 공공형 노인 일자리인 아름다운 제주 만들기, 용천수를 부탁해, 어르신 복지 도우미 등 3개 사업 참여자 총 1159명(응답자 1150명)을 개별 면접해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참여자를 연령별로 보면 80~85세 미만 374명, 75~80세 미만 259명, 85~90세 미만 253명, 70~75세 미만 126명, 90세 이상 84명 등이다.
만족도를 물었더니 '매우 만족' 37%, '만족' 40%를 나타냈다. '보통'이라는 비율은 22%였다. 일자리 사업 참여 이유로는 용돈 마련(64%), 건강 유지(16%), 사회 활동 참여(5%) 순이었다. 참여 효과로는 경제적 도움(57%), 건강 증진(26%), 자기 발전과 성취감(8%), 긍정적 성격 변화(3%)를 차례로 꼽았다. 응답자의 87%는 일자리 사업 재참여를 희망했다.
이들이 참여하는 공공형 노인 일자리는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사업단 등에 비해 활동급여가 적지만 사회 활동 성격으로 전문 경력이 없어도 참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참여 연령이 높고 신청자도 몰리는 편이다. 올해 제주시의 노인 일자리 예산 262억6000만원 중 공공형 사업비는 83%에 이른다.
이와 관련 제주시 관계자는 "공공형 노인 일자리 사업은 활동비가 적지만 건강 개선 등 노인복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작년에 비해 만족도도 소폭 올랐다"면서 "참여자들이 활동 시간을 늘리고 급여도 올려달라는 건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