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기 쏠림 차단' 공무원 휴가 사용기간 12주로 확대
입력 : 2020. 06. 24(수) 12:54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가가
인사혁신처, 여름철 코로나 19 확산 방지 방안 마련…"성수기 휴가 사용 줄여야"

정부는 여름 휴가철 국민 이동량이 급증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공무원 하계휴가 기간을 조정하기로 했다.
공무원들이 성수기 휴가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중앙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이 하계휴가를 쓸 수 있는 기간을 예년보다 3주 더 늘려 12주까지 확대한 것이다.
인사혁신처는 이런 내용의 '2020년 공무원 하계휴가 분산 운영 계획'을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보고했다.
계획의 주요 내용은 공무원들이 여름 휴가를 분산해 쓸 수 있게 하계휴가 기간을 오는 29일부터 9월 18일까지로 늘린 것이다. 기간은 예년보다 3주 더 늘었다.
각 기관은 하계휴가 기간 12주 동안 권장 휴가사용률(주당 8∼11%) 범위에서 소속 공무원의 휴가 사용을 관리해야 한다. 권장 휴가사용률은 기관별 현원 대비 주당사용 가능한 휴가 일수의 비율을 뜻한다.
일일 휴가사용률은 15% 이하로 운영하되, 권장 휴가사용률의 1%포인트 범위 안에서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게 했다.
또 기관별 휴가계획을 마련할 때 현장·실무직 공무원과 미성년 자녀가 있는 공무원이 우선 휴가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인사혁신처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이날부터 모든 정부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이 계획을 시행토록 했다. 계획은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에도 적용된다.
이번 계획은 여름 휴가철 국민 이동이 늘면서 코로나19 감염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방역당국은 황금연휴 때 코로나19가 확산했듯 7∼8월 휴가철에도 감염위험이 높아질 것을 우려하면서 최근 국민들에게 휴가철을 앞두고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실제로 '황금연휴'(4.29∼5.5)를 거치면서 지역 간 이동량이 늘자 수도권의 클럽·종교 소모임·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다시 발생한 사례가 있고, 현재는 대전과 충남 등 전국 곳곳으로 번져나가는 상황이다.[연합뉴스]
공무원들이 성수기 휴가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중앙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이 하계휴가를 쓸 수 있는 기간을 예년보다 3주 더 늘려 12주까지 확대한 것이다.
계획의 주요 내용은 공무원들이 여름 휴가를 분산해 쓸 수 있게 하계휴가 기간을 오는 29일부터 9월 18일까지로 늘린 것이다. 기간은 예년보다 3주 더 늘었다.
각 기관은 하계휴가 기간 12주 동안 권장 휴가사용률(주당 8∼11%) 범위에서 소속 공무원의 휴가 사용을 관리해야 한다. 권장 휴가사용률은 기관별 현원 대비 주당사용 가능한 휴가 일수의 비율을 뜻한다.
일일 휴가사용률은 15% 이하로 운영하되, 권장 휴가사용률의 1%포인트 범위 안에서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게 했다.
또 기관별 휴가계획을 마련할 때 현장·실무직 공무원과 미성년 자녀가 있는 공무원이 우선 휴가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인사혁신처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이날부터 모든 정부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이 계획을 시행토록 했다. 계획은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에도 적용된다.
이번 계획은 여름 휴가철 국민 이동이 늘면서 코로나19 감염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방역당국은 황금연휴 때 코로나19가 확산했듯 7∼8월 휴가철에도 감염위험이 높아질 것을 우려하면서 최근 국민들에게 휴가철을 앞두고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실제로 '황금연휴'(4.29∼5.5)를 거치면서 지역 간 이동량이 늘자 수도권의 클럽·종교 소모임·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다시 발생한 사례가 있고, 현재는 대전과 충남 등 전국 곳곳으로 번져나가는 상황이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