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人터뷰] 도선제 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 중앙회장
입력 : 2018. 09. 21(금) 00:00
채해원 기자 seawon@ihalla.com
“제주 블록체인특구, 그린이노베이션 메카로”
도선제 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 중앙회장.
탄소배출권 블록체인 연계
그린이노베이션 포럼 열려

‘안정적·투명한 거래’ 기대


제주가 지속적으로 블록체인특구 지정을 건의하고 있는 가운데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을 연계한 그린이노베이션' 포럼이 2일 열렸다. 이 행사를 공동주관한 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의 도선제 중앙회 회장을 만나 블록체인특구 지정이 제주에 미칠 영향을 가늠해봤다.

▶제주에서 포럼을 개최하게 된 계기=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제주를 블록체인특구로 지정하는 안을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탄소배출권을 블록체인화하던 중에 이를 알고 제주서 추진하게 됐다.

이번 포럼에 한전, 포스코 등 탄소배출권을 많이 사용하는 곳의 사업자들이 많이 참여했다. 이번을 계기로 블록체인을 연계해서 어떻게 탄소저감에 앞장서고, 저감된 탄소를 어떻게 사회에 환원할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본다.

▶포럼 주제가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연계 그린이노베이션'인데,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을 연계 하는 방안은=블록체인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든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스마트시티, 스마트팜영농, 탄소배출권과 같이 미세먼지와 탄소배출을 억제하고 친환경적으로생활하는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를 이용하거나 자전거 등을 타서 탄소를 저감했을 때 이를 데이터화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이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탄소를 저감한 만큼 탄소배출권을 판매하는 것까지의 가능한 시스템을 구상하고 있다. 그 일환에서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연계 그린이노베이션 포럼'도 마련하게 됐다.

▶탄소배출권을 블록체인을 연계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탄소배출권에 대한 개인 간 거래가 2020년부터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우리는 개인 간 거래를 어떤 시스템 아래서 매뉴얼을 세워서 갈 것인가 하는 부분을 준비하는 것이다. 탄소배출권을 블록체인과 연계해야만 범세계적으로 안정적이고 투명하게 거래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블록체인과 관련된 법이 제정되지 않고 불법으로 치부되고 있는 점은 참으로 안타깝다.

▶제주의 탄소저감 정책과 블록체인특구 지정이 연계됐을 때 제주에 미칠 영향은=제주를 블록체인특구로 지정해 달라는 건의는 매우 기발하고 시대적 배경과도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제주에서만 가상화폐를 공개할 수 있다면 제주는 살아날 수 있다. 카본프리아일랜드를 목표로 전기차·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진행하고 있는 제주에 블록체인특구라는 산업구조가 마련된다면 제주는 그린이노베이션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4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Ѷͺ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