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사람](9)김창삼 책밭서점 대표
입력 : 2017. 07. 28(금) 00:00
진선희 기자 sunny@ihalla.com
가가
"잊혀진 책, 외면받는 책이란 없다"

1992년부터 25년째 책밭서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창삼 대표. 한때 위기를 겪었지만 농사를 병행하며 제주 헌 책방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진선희기자
1992년에 헌 책방 인수 운영
인터넷 등장으로 고객 급감
수천권 제주 도서 수집 보람
서점 지키려 10년째 농사일
2007년 위기가 있었다. 인터넷으로 정보 검색이 쉬워지며 서점을 찾는 발길이 하루가 다르게 줄더니 급기야 임대료를 내기도 버거웠다. 문 닫을 생각을 하고 주변에 알렸다. 그랬더니 열이면 열 그런 말을 했다. "제주에 있는 유일한 헌책방이 사라지면 제주문화가 너무 삭막해집니다."
아내와 딸들의 응원이 더해지며 결국 마음을 고쳐 먹었다. 대신 다른 방도를 찾았다. 책 만큼 정직한 농사를 병행하면서 서점을 꾸려가기로 했다. 그 때부터 그는 농사 짓는 헌 책방 주인이 됐다.
제주시 이도1동에 들어선 책밭서점의 김창삼 대표. 지금은 제주에 몇 군데 있지만 책밭서점은 오랜 기간 헌 책방을 대표하는 공간이었다. 책밭서점의 역사는 1985년부터 시작됐다. 제주은행 남문지점 맞은편에 다섯평 규모의 책밭서점이 처음 문을 열었다.
김 대표는 책밭서점의 단골이었다.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퇴근길에 들러 1~2권씩 중고서적을 샀다. 1992년 7월, 그는 서점 손님에서 주인이 된다. 책밭서점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게 되면 꼭 자신에게 먼저 연락해 달라는 얘기를 주인에게 해뒀던 터였다. 새 책이 안팔리면 이내 반품하는 일방통행식 서점이 아니라 잊혀진 책, 외면받은 책도 돌고돌아 맞춤한 독자를 찾아가는 헌 책방의 따뜻함에 끌렸던 그였다.
현재 27평 크기의 책밭서점 서가에 꽂힌 책은 7만권쯤 된다. 한 시절을 뜨겁게 했던 소설과 에세이부터 기술서적까지 온갖 책이 다 있다. 세월의 때가 묻은 고서도 서가 한켠을 차지했다. 시간을 내 찬찬히 둘러보면 책더미 속에서 보물을 발견하게 될지 모른다.
김 대표가 직장에 사표를 던지고 인생의 목표 중 하나였던 책방을 운영하던 초기엔 힘든 줄 몰랐다. 3개월에 한번은 광주에서 서울까지 전국 헌 책방을 돌며 서점에 놓을 책을 구입했다. 1년에 많게는 여섯번 헌 책 수집을 위해 바다를 건넌 적도 있다.
하지만 현실은 간단치 않았다. 그가 서점을 인수한 뒤 3번이나 자리를 옮겼다. 광양 일대 100m 반경 안에서 이루어진 일로 임대료 부담이 원인이었다.
서점을 찾는 이들이 주로 노인들이고 새로운 고객이 늘지 않는 점도 고민이다. 어쩌면 10년 전보다 더 큰 위기다. 김 대표는 초반엔 초조했지만 지금은 초연해졌다. 사반세기 동안 책방을 통해 얻은 보람도 컸기 때문이다. 헌 책방 네트워크를 통해 제주(탐라) 관련 도서를 5000권이나 모은 일이 그중 하나다. 김 대표는 이즈음 소장하고 있는 제주 도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꿈을 꾸고 있다. 오후 1시부터 8시까지 운영한다. 일요일은 문을 닫는다.
인터넷 등장으로 고객 급감
수천권 제주 도서 수집 보람
서점 지키려 10년째 농사일
2007년 위기가 있었다. 인터넷으로 정보 검색이 쉬워지며 서점을 찾는 발길이 하루가 다르게 줄더니 급기야 임대료를 내기도 버거웠다. 문 닫을 생각을 하고 주변에 알렸다. 그랬더니 열이면 열 그런 말을 했다. "제주에 있는 유일한 헌책방이 사라지면 제주문화가 너무 삭막해집니다."
제주시 이도1동에 들어선 책밭서점의 김창삼 대표. 지금은 제주에 몇 군데 있지만 책밭서점은 오랜 기간 헌 책방을 대표하는 공간이었다. 책밭서점의 역사는 1985년부터 시작됐다. 제주은행 남문지점 맞은편에 다섯평 규모의 책밭서점이 처음 문을 열었다.
![]() |
책밭서점 전경 |
현재 27평 크기의 책밭서점 서가에 꽂힌 책은 7만권쯤 된다. 한 시절을 뜨겁게 했던 소설과 에세이부터 기술서적까지 온갖 책이 다 있다. 세월의 때가 묻은 고서도 서가 한켠을 차지했다. 시간을 내 찬찬히 둘러보면 책더미 속에서 보물을 발견하게 될지 모른다.
![]() |
책밭서점 내부. 왼쪽에 한때 집집마다 구비하고 싶었던 백과사전이 보인다. |
![]() |
책밭서점을 찬찬히 누비다보면 책더미 속에서 보물을 발견하게 될지 모른다. |
서점을 찾는 이들이 주로 노인들이고 새로운 고객이 늘지 않는 점도 고민이다. 어쩌면 10년 전보다 더 큰 위기다. 김 대표는 초반엔 초조했지만 지금은 초연해졌다. 사반세기 동안 책방을 통해 얻은 보람도 컸기 때문이다. 헌 책방 네트워크를 통해 제주(탐라) 관련 도서를 5000권이나 모은 일이 그중 하나다. 김 대표는 이즈음 소장하고 있는 제주 도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꿈을 꾸고 있다. 오후 1시부터 8시까지 운영한다. 일요일은 문을 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