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혁의 건강&생활] 치매역학조사
작성 : 2025년 04월 30일(수) 02:30
[한라일보]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023년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25%로, 2016년 9.50%에 비해 0.25%p(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치매 유병률이 20%를 넘는 85세 이상 초고령층 인구가 최근 5년 사이 1.5배가량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치매 유병률 감소 폭은 1% 이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 예방을 위한 다학제적 노력, 흡연 및 음주율 감소, 심뇌혈관질환 사망률 개선, 노년층의 교육 수준 향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지난 40년간 치매 발생률이 10년마다 10~38%씩 감소했으며, 이는 심혈관질환 관리와 건강 교육이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국제 학술지 란셋(The Lancet) 보고서 또한 치매 위험 요인을 제거하면 치매 발병을 최대 45%까지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로, 2016년 대비 6.2% 증가했다. 이는 조기 진단 기술의 발전과 치매 예방 및 관리 강화로 인해 경증 단계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늘어난 결과로 해석된다.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진행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치매 예방 관리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지역사회 치매 환자 가족의 45.8%는 돌봄 부담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연간 관리 비용은 지역사회 환자의 경우 약 1734만원, 요양병원이나 시설 환자의 경우 3138만원에 달한다. 돌봄 비용은 보건의료비보다 2~3배 높아 가족에게 큰 부담을 준다.

가족 돌봄을 중단하는 주요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활동으로 인한 시간 부족(27.2%), 치매 증상 악화(25.0%)가 꼽혔다. 가족들은 평균 27.3개월 동안 환자를 돌보고 있으며, 응답자의 40%는 돌봄으로 인해 정신적 건강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이렇듯 치매는 단순한 개인 질병이 아니라 가정의 경제적 기반과 정서적 안정성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다.

치매 환자 수는 2026년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6~2030년)을 통해 조기 발견 시스템 강화, 맞춤형 돌봄 지원, 가족의 경제적 부담 완화,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이용 확대 등 가족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치매 유병률 감소는 고무적인 성과지만, 여성, 고령, 농촌, 저학력층에서 여전히 높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경도인지장애 증가와 가족의 돌봄 부담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를 위해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치매 안전망을 강화하고 가족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며, 치매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