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밥-김승희
[한라일보] 새벽에 너무 어두워
밥솥을 열어봅니다
하얀 별들이 밥이 되어
으스러져라 껴안고 있습니다
별이 쌀이 될 때까지
쌀이 밥이 될 때까지 살아야 합니다
그런 사랑 무르익고 있습니다
어두운 새벽, 새벽이 어두워서 밥솥을 연다고 주위가 환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상상 속에서는 얼마든지 쌀밥이 모락모락 하얀 김과 함께 드러나고 거기 고슬고슬한 흰빛이 담겨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밥솥에 밥이 없고 하얀 별들만 하늘을 이루고 있다는 말을 차마 할 수 없는 시인은 밥이든 별이든 '있다'고 쓴다. 밥을 별로 읽으면 감탄스럽지만 별을 밥이라 하면 받아들일 수 없는 어떤 사람에게, 영혼을 지켜주는 그 별이 언제 쌀이 될 수 있을지 알려줄 수 없을 때, 우리는 끝까지 "살아야" 한다고 말하고, 그런 시간을 새벽을 기다린다고 하는지 모른다. 그 쌀이 밥이 될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계산이 되지 않는 삶을 우리는 삶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것이나 이유는 충분히 다 있지만, 새벽에 일 나가는 누군가를 위해 밥솥에 흰쌀밥이 되어주는 데까지는 가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가난을 왜곡하지는 말아야 한다. 한 사람의 가난은 모두의 가난일 수 있으며, 가난은 "밥솥"을 열어보는 것처럼 가까이서 보는 것이라서 우리는 그걸 사랑이라 부른다. 내 안에 그런 사랑 무르익고 있는지.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