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며칠동안 제주섬에 강한 눈보라가 몰아쳤다. 이러한 매서운 추위를 마주할 때면 봄이 오는 소리가 멀어지는 것만 같다. 하지만 봄은 오고 있다. 곧 봄을 알리는 '입춘(立春·2월4일)'이 다가오고 있어서다.
| 신들의 부재기간 '신구간'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눠 계절을 구분한 24절기. 농사에 기준이 되는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가 바로 입춘이다. 새해의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제주사람들은 이날을 '새철 드는 날' 또는 '샛절 드는 날'이라 불렀다.
입춘하면 함께 떠오르는 것이 있다. 제주에만 있는 이사철 풍습인 신구간이다. 신구간은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까지 보통 일주일 정도의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은 지상에 내려와 인간사를 다루는 제주의 모든 신들이 한해 임무를 다하고 하늘로 올라가서 신이 없는, 신들의 부재기간을 의미한다. 이 시기에 이사나 집수리를 비롯한 평소에 꺼려했던 일들을 해도 아무런 탈이 없다고 해 '이사하기 좋은 날(손 없는 날)'로 여겨졌다. 이에 미리 준비해 뒀다가 이 때 많은 이들이 이사를 행했다.
지금은 이 같은 풍습이 예전같진 않지만 여전히 제주의 전통적인 이사철 풍습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신구간은 이달 25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다.
| 탐라시대부터 이어져온 ‘입춘굿’
신구간이 끝난 뒤 하늘로 올라갔던 신들이 다시 지상에 내려오면 새해 첫 절기인 입춘이 시작된다. 입춘날이 되면 한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여러가지 의례가 행해진다.
제주에서는 새철(입춘의 제주어)이 들기 전에 이웃에서 빌려온 물건도 돌려주고 꿔온 돈도 갚고 모든 것을 새로운 마음으로 새해를 맞으려 했다. 입춘날에는 집안 곳곳에서 입춘첩을 써서 붙이고 입춘굿을 했다.
입춘첩은 집집마다 제각각 '입춘대길 건양다경(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 '건양다경래백복(양기가 서니 경사로움이 많아 백가지 복이 온다)', '입춘대길거천재(봄이 오니 크게 길하여 천가지 재해가 물러간다)' 등의 글귀를 써서 대문, 고팡문, 기둥 등에 붙였다.
그해 풍년을 기원하는 농경의례와 관련된 제주의 입춘굿은 심방(무당)들이 치르는 무속굿을 중심으로 모든 의례가 진행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자료에 따르면 조선 헌종 때 제주목사를 지낸 이원조의 '탐라록'에도 제주의 입춘굿 풍경이 기록돼 있다. "입춘날, 호장이 관복을 입고 나무로 만든 소가 끄는 쟁기를 잡고 가면 양쪽 좌우에 어린 기생이 부채를 흔들며 따른다. 이를 '낭쉐몰이(소몰이)'라 한다. 심방들은 신명나게 북을 치며 앞에서 인도하는데, 먼저 객사로부터 시작해 차례로 관덕정 마당으로 들어와서 '밭을 가는 모양'을 흉내냈다. 이날은 본 관아로부터 음식을 차려 모두에게 대접했다. 이것은 탐라왕이 '경전'하는 풍속이 내려온 것이다."
탐라시대부터 이어져왔다는 입춘굿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사라졌다가 지난 1999년 제주민예총이 전통문화축제로 복원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움트는 새봄, 꽃피는 새날
올해도 제주도민의 무사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입춘 행사가 잇따른다.
제주 대표 새봄맞이 축제인 2024 탐라국 입춘굿이 '움트는 새봄 꽃피는 새날'이라는 주제로 다음달 2일부터 4일까지 제주목 관아와 관덕정 일대에서 열린다.
올해로 25회째 맞는 탐라국 입춘굿은 입춘맞이, 거리굿, 열림굿, 입춘굿의 순서로 진행된다.
첫날에는 오전 9시 문전제의 의미를 살린 춘경문굿을 시작으로 마을거리굿, 도성삼문거리굿, 세경제, 입춘휘호 퍼포먼스가 마련된다. 둘째날에는 열림굿과 함께 입춘성안기행, 탈굿놀이, 제주굿 창작한마당, 입춘수다·메밀떡 나눔 등이 열린다. 마지막날에는 행사 복원 후 처음으로 제주칠머리당영등굿보존회, 제주큰굿보존회, 영감놀이보존회가 함께하는 입춘굿이 진행되며 낭쉐몰이와 입춘덕담도 이어진다. 또 행사기간에는 입춘천냥국수, 입춘장터 등 도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참여마당도 마련된다.
지속가능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도 이달 26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제주교육박물관에서 '입춘대길' 무료 써주기를 진행하고 있다. 우천시에는 교육박물관 앞 갤러리운담에서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