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물동량 80% 이상 '제주항'으로… 쏠림 현상 여전
2월까지 감귤·채소 41% 늘면서 전체 물동량 3.7%↑
제주항 전체 물량 81% 처리..애월항 유류 반입 감소
작성 : 2023년 03월 27일(월) 12:51

제주항 전경.

[한라일보] 제주항의 선석 포화로 한림과 성산포항의 물동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자치도가 27일 밝힌 2023년도 2월 말 기준 화물물동량 현황을 보면 제주지역 6개 항만의 물동량은 394만4108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80만1791톤보다 3.7%정도 늘었다.

부문별로는 입항 화물중에서는 시멘트와 철재가 가각 31.2%, 58.5% 늘었고 모래와 자갈, 목재, 비료 등은 줄었다. 출항 화물중에선 감귤·채소가 41.8% 증가했다.

항만별로는 여전히 제주항의 비중이 81.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선석 포화 등으로 주변 항만인 한림항과 성산포항의 실적이 늘었다.

제주항의 경우 감귤·채소 출하물량이 183%나 늘었고 올해 증가한 시멘트와 철재 물량도 대부분 제주항으로 쏠렸다.

한림항의 경우 시멘트와 자갈 물량이 늘면서 올해 물동량은 18만8086톤으로 전년대비 15%정도 증가했다. 감률·채소 출항 물량이 늘어난 성산포항도 16만2557톤으로 역시 전년대비 18%정도 증가했다.

반면 애월항의 경우 유류 반입량이 줄어들면서 지난해 17만9401톤에서 16만3811톤으로 소폭 줄었고 서귀포항도 감귤 출하 물량과 모래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전체 물동량도 14만6897톤에서 10만2137톤으로 줄었다. 화순항도 지난해 11만1228톤에서 올해는 11만871톤으로 역시 소폭 감소했다.

기사 목록

한라일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