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공개 입찰제도 제주에 시범 실시
정부 지난 13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
제주출력제어율 2023년 1.08%에서 2030년 19% 상승
2024년 1500억 투자 65MW급 ESS 도입.. 순차적 확대
작성 : 2023년 01월 16일(월) 09:47
[한라일보]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한 실시간·예비력 시장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등 전력시장 제도 개선 방안이 제주지역에서 시범 적용된다.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 해결을 위해 2024년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 ESS(65MW)를 도입하는 등 순차적으로 ESS를 늘려나간다.

산업통산자원부는 지난 13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과잉출력으로 인한 출력제어가 증가하고 있다.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 확대로 풍력 발전기등에서 생산한 전력을 저장·송출하지 못해 발전을 강제로 중단시키는 출력제어 횟수는 지난해 103회를 기록했다.

신재생에너지 지속 보급으로 도내 출력제어율은 2023년 1.08%에서 2027년 2.20%, 2028년 4.42%, 2030년 CFI 목표 달성이후(2031~2036년)는 24~25%수준 유지가 전망됐다.

이에 산자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전력계통 신뢰도 유지 등을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등 유연성 자원 확충을 추진한다.

제주지역 연도별 ESS필요량을 추정한 결과 2024년 65MW/ 260MWh, 2028년 110MW/ 660MWh, 2029년 600MW/ 3600MWh, 2030년 1730MW/ 46000MWh, 2036년 23100MW/ 6800MWh로 나왔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사업비 1500억원을 투자해 2024년 제주에 에너지저장장치(65MW/ 260MWh)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어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를 순차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양방향 전력 전송이 가능한 제3 연계선 (HVDC)의 준공 및 역송 여부가 단기 수급 및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설비 적기 준공을 지원한다. 제3 연계선은 올해말 준공 예정이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는 제주 신재생 초과 발전을 100%흡수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발전용량에 맞춰서 우선 1단계로 2024년에 65메가와트 4시간 분을 도입하고 그 다음에 2025년도 50메가와트 4시간 분, 그 다음에 또 설치하는 식으로 증설해 가지고 초과 발전을 흡수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는 신재생에너지도 전통적인 발전기처럼 경쟁 입찰을 하게 된다. 기존 사업자들이 절대 출력 제어를 하지 말라고 하고 있지만 앞으로 3%의 출력제한은 감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출력제어보다 제어를 많이 받아도 가격이 높으면 좋은 거니까. 이런 일종의 해법이다. 일단은 에너지저장 장치를 많이 설치해서 흡수하는데 가장 경제적인 제어율이 얼마냐. 우리는 3%부터 한번 시작해보자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목록

한라일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