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지역 감귤재배면적 되레 늘었다
"농가소득 증대·소비자 선호 만감류 전환" 분석
2018년 이후 증가세… 제주시는 감소세 대조적
작성 : 2022년 05월 16일(월) 14:40
노지감귤 과잉 생산에 따른 과원 폐원 및 타작물 전환을 유도하는 농업정책이 수년째 이뤄지고 있으나,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지역의 감귤 재배면적은 되레 만감류를 중심으로 되레 늘고 있는 추세다.
16일 제주도와 서귀포시에 따르면 최근 서귀포지역 노지감귤 재배면적은 2016년 1만726㏊에서 2020년 9428㏊로 12%(1298㏊)가량 줄었다. 반면 이 기간에 만감류 재배는 1677㏊에서 2869㏊로 71%(1192㏊) 증가했다.
재배면적 증가 이유는 각종 지원사업 수혜는 물론 단위 면적당 수입 증대와 함께 당도가 높고 향이 좋은 만감류에 대한 소비 트렌드의 변화가 종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1000㎡(302.5평)당 노지감귤 수입은 이 기간에 308만원에서 352만원으로 14% 증가했고, 만감류 수입은 990만원에서 1230만원으로 24% 늘어 증가폭을 키웠다.
서귀포지역의 전체적인 감귤 재배면적은 ▷2016년 1만3719㏊ ▷2017년 1만3271㏊ ▷2018년 1만3224㏊ ▷2019년 1만3233㏊ ▷2020년 1만3281㏊ 등이다. 재배면적이 매년 줄다 2018년 이후부터는 연간 9~48㏊가량씩 늘었다. 이 기간에 제주시의 감귤 재배면적은 연간 40~69㏊가량씩 줄어 대조를 보였다.
기타 과실류인 참다래와 망고, 단감, 블루베리 등의 재배면적은 연간 소폭 증감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 관계자는 "제주도 전체적으로 최근 한라봉·천혜향·레드향·황금향 등의 만감류 재배가 늘고 있다"며 "농가 소득 증가와 함께 새로운 품종의 과일 구매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트렌드 변화에 따라 만감류의 인기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 목록
Copyright © 2018 한라일보. All Rights Reserve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