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독 아닌 낭독… 제주문학의 구술적 자산 주목해야"
제2회 유네스코·겨레말큰사전 국제학술포럼 26일 '제주어 …' 특별세션
'제주어로 문학하기' 강덕환 시인 "제주어 구사하면 무명이지만 모두 시인"
고명철 평론가 "제주 구술문화적 전통과 근대문학 문자성 '회통' 작업 절실"
작성 : 2021년 11월 26일(금) 14:38

강덕환 시인이 26일 오전 '제주어로 문학하기'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유튜브 화면.

제주어로 쓴 시와 소설이 글이 아닌 말로 전해졌다.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가 공동 주최하고 통일부·외교부 후원, 유네스코 협력으로 서울에서 진행된 제2회 유네스코·겨레말큰사전 국제학술포럼을 통해서다.

이달 25~26일 개최되는 이번 포럼은 인류 문화유산인 토착어의 채집과 기록을 넘어 작품의 창작과 향유를 통해 지속가능한 토착어의 보존과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둘째 날인 26일 오전에는 특별세션으로 '제주어와 함경도어 그리고 겨레말큰사전'이 마련돼 제주어로 문학을 하는 강덕환 시인(제주작가회의 회장), 제주 출신 문학평론가인 고명철 광운대 교수의 발표가 잇따랐다.

유튜브 채널 겨레말TV를 통해 실시간 중계된 이날 포럼에서 강덕환 시인은 '제주어로 문학하기' 발표에서 "제주어는 섬이라는 독특한 환경을 자양분으로 말(언어)이 사람들의 삶 속에 새겨져 왔다"며 조선시대 200년간의 출륙금지령, 제주4·3 당시 수난 상황에서 "모르쿠다"가 불러온 비극, 중앙집권 표준어 정책의 문제점을 돌아봤다. 강 시인은 "작가(문학인)는 그 지역의 언어로 그 지역민의 정서를 표현하는 숙명적 존재다. 이는 장점이기도 하지만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면서 "제주어를 쓸 줄 알면 무명이지만 시인"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강덕환 시인과 제주 토박이 시인 등이 참여해 강 시인의 '우화', '조밭 밟기', '오몽', '여름날', '한잔해 불게', '게미융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