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1%대 복귀…내년 추가인상 여부 촉각
한국은행, 8월 인상 후 3개월만에 0.75%서 1.0%로
내년 추가인상시 대출자 이자 부담에 주택시장에도 영향
작성 : 2021년 11월 25일(목) 14:54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연 0.75%인 기준금리를 1.0%로 0.25%포인트(p) 인상하면서 사상 초저금리 시기에 빚을 내 주택을 마련하거나 주식 등에 투자했던 이들을 중심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한은의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 8월 0.25%p 올린 후 3개월만이다. 2020년 3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전격적으로 낮추면서 사상 처음 0%대로 떨어졌던 금리가 20개월만에 1%대로 오르면서 이제 시장의 관심은 내년 추가인상 여부와 그 시기에 쏠리고 있다. 추가 인상시 대출자 부담은 더욱 커지고, 올해 급등한 주택가격에도 영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25일 도내 은행업계와 전국은행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는 4%대까지 등장했다. 전국은행연합회의 은행별 대출금리를 보면 이달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의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방식) 금리는 3.02~4.26%로, 작년 연말 2.70~3.72%에 비해 상승세가 뚜렷하다. 정부의 대출 규제에다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이미 시장금리에 선반영된 탓이다. 일반신용대출 평균금리도 작년 말 2.58~3.14%에서 3.60~4.19%로 1%p 이상 올랐다.
9월 말 기준 도내 가계대출 잔액은 17조6316억원으로 1년 전보다 6.4% 증가했다. 가계대출 중 5조3156억원은 주택담보대출이고, 나머지 12조3160억원은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 대출이다.
기준금리는 내년 추가 인상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물가가 계속 오르는 추세이고 소비 회복도 예상되고 있어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1%의 기준금리는 국내 경제성장과 물가흐름에 비춰볼 때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 앞서 24일 자본시장연구원은 '2022년 경제 및 자본시장 전망'에서 내년 기준금리를 1.5%까지 2회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관계자는 "시장이 이미 금리인상을 예상해 선반영되면서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면서도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과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사 목록
Copyright © 2018 한라일보. All Rights Reserve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