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가장 큰 매립시설인 제주시 회천동 소재 봉개 쓰레기매립장은 지난 1992년 7월부터 쓰레기 반입이 시작됐다.
봉개 쓰레기매립장은 제주시 노형동 쓰레기매립장(현 미리내 체육공원)의 만적에 따라 1992년 7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부지 53만4570㎡에 대해 예산 21억2300만원을 투입해 조성됐다.
제주시가 1990년 노형동 쓰레기 매립장을 대체할 새 쓰레기매립장 조성후보지로 회천동을 지목하자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기도 했다.
제주도와 주민대책위원회는 2002년, 2011년, 2016년, 2018년 등 봉개 쓰레기매립장에 대해 네 차례 사용 연장을 위한 계약을 갱신하며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동복광역매립장 공사가 7개월 지연되면서 동복리 광역소각장이 준공되는 2019년 10월 31일까지 사용을 연장하기로 했다.
봉개 쓰레기매립장 이전에 사용되던 노형동 쓰레기매립장(현 미리내 체육공원)의 경우 단순 비위생 매립방식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지만 봉개 쓰레기매립장은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정화시설을 갖췄다. 강희만·홍희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