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30년 제주 30년] (30) 대학입시
작성 : 2018년 11월 15일(목) 20:00

첫사진은 1989년 제주대학교 캠퍼스에서 도내 고등학교 선·후배 동문들이 격문을 내걸고 따뜻한 음료를 제공하며 응원전을 펼치고 있는 모습. 강희만기자

예나 지금이나 '떨리는 대입시험'고사장 앞 화려한 응원전… 대입제도 큰 변화

한 문제에 울고 웃는 큰 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15일 2019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났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시행 이후 25년동안 12번이나 개편됐다. 인생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올 대학입시, 과거에는 어땠을까.

1

1980년대에는 대학별 예비고사에서 대학입학 학력고사로 변화했다. 1988년에는 학력고사, 고교내신, 논술고사로 진행됐던 전형요소가 학력고사, 내신성적, 면접으로 바뀌었으며 선지원 후시험 방식을 택했다.

1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의 큰 획을 그은 수능은 1994학년도에 도입됐다. 이후 국가가 관리하는 수능을 중심으로 고교내신성적, 대학별고사(논술·면접 등)를 활용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체계가 유지되고 있다.

수능 도입 첫 해에는 8월과 11월 두 번 시행됐지만, 난이도 조절에 실패해 다음 해부터는 연1회로 정착됐다. 강희만·홍희선기자

기사 목록

한라일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