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섬 제주의 가치, 지하수](3)오염의 주범, 질산성질소
비료와 분뇨, 무관심으로 위협받는 제주의 생명수
작성 : 2016년 02월 22일(월) 00:00

금악 양돈단지 전경. 강희만기자

농경지·양돈밀집지역 농도 높아… 오염 치유 10여년 방치가축분뇨 영향보다 화학비료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대정읍 서림수원지 질산성 질소·탁도 높아 2000년대 후반 폐쇄친환경농업 전환·적정시비량 연구 농가 선도 등 노력 절실

제주도민들의 생명수인 지하수가 질산성 질소로 오염되고 있다.

질산성 질소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청색증 , 발암성물질인 니트로소아민과의 관련성 때문에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10여년 전부터 이같은 문제가 발생했으나 지하수내 질산성 질소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제주도내 지하수 먹는물 수질기준 10㎎/L를 초과하는 곳은 5000개의 관정중 10%에 달한다.

1

제주시 한경면 7.9㎎/L, 조천읍7.2㎎/L, 한림읍 6.1㎎/L, 서귀포시 대정읍 6.2㎎/L 등 농경지와 축산시설이 밀집된 지역 지하수에서 다른지역보다 질산성 질소 농도가 높게 검출되고 있다.

질산성 질소는 토양입자 사이를 흐르는 물과 함께 지하수로 유입되기 쉬운 물질 중 하나이다. 이는 질산성 질소가 음전하를 띠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토양입자가 갖는 음전하 사이에 생기는 반발력으로 인해 토양 흡착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학비료나 가축분뇨에 있는 질소 성분이 질산성 질소로 변하면 토양에 흡착되지 못하고 입자 사이를 흐르는 물과 함께 지하로 이동하게 된다. 지하수 오염원이 되는 것이다.

질소는 식물성장의 필수 원소로서 질소 시비량을 높일 수록 생산력은 높아지기 때문에 도내 농민들이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실태=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축산시설이 밀집해 있는 제주시 한림지역 지하수 관정을 대상으로 질산성질소 농도를 조사한 결과 지하수중 질산성 농도는 0.17~28.95㎎/L로 먹는물 기준치 10.0㎎/L를 초과한 곳은 20개로 나타났다. 이중 협재·명월·금악리는 각 각 0.32㎎/L, 1.45㎎/L, 1.50㎎/L로, 월령· 월림· 귀덕리는 각 각 23.23 ㎎/L, 16.67 ㎎/L, 10.00 ㎎/L로 나타났다. 이후 이뤄진 지하수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유사한 농도를 보이고 있다. 금악리에는 59양돈농가가 돼지 10만두를 사육하고 있다.

1

이와 관련 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지하수 질산성 질소는 가축분뇨에 의한 영향보다 화학비료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친환경농업을 하는 곳은 질산성 질소 농도가 낮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농경지와 축산단지가 밀집해 있는 대정읍 일과·동일리 지역도 다른 지역 보다 질산성 질소 농도가 5㎎/L 높게 검출되고 있다. 일과·동일리에는 25개 양돈농가가 있다. 이곳에서는 돼지 4만8900두가 사육되고 있다. 1일 분뇨발생량은 29만3400ℓ이다. 분뇨는 농가 자체처리시설이나 공공처리시설을 통해 처리되고 있으나 일부는 지하로 침투되고 있다. 가축분뇨에는 사람보다 20~30배 많은 질소성분이 포함돼 있다.

이같은 지역 환경은 지하수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들 마을 아래쪽에 위치한 서림수원지는 현재 지하수 오염으로 폐쇄됐다.

1

지난 1995년 4월 117억원을 들여 준공한 대정읍 서림수원지는 이후 다른 지역보다 질산성 질소가 높게 검출되고 1999년 7월 집중호우가 내린 직 후 흙탕물이 쏟아져 나오는 일이 발생했다.

90년대 후반 들어 질산성농도가 계속해서 높아지고 탁도가 개선되지 않자 결국 2000년대 후반 대정읍 지역주민 식수원에서 농업용수 수원지로 전환해 서부지역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1일 2만5000㎥의 용천수를 송·급수관을 이용해 서림·일과·영락·무릉·신도리 지역 농경지에 공급하고 있다.

류성필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정책자문위원은 "서림수원지 상류에 있는 축산시설에서 나오는 분뇨와 농경지에 뿌려지는 화학비료가 서림수원지 수질을 오염시킨 주범"이라며 "질산성 질소로 인한 제주 지하수 오염을 차단하기 위해 지역별 원인을 우선 규명하고 오염원에 따른 맞춤형 처방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사 목록

한라일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