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만점 건강만점]제주의 음식 '빙떡과 옥돔구이'
작성 : 2015년 02월 13일(금) 00:00
예로부터 명절 때면 즐겨먹는 제주 고유의 음식인 빙떡.
메밀가루를 반죽한 메밀 반죽에 무를 올려 빙빙 감아서 만들었다고 해서, 또는 빙철(빙떡이나 전을 지질 때 사용하는 번철)에 짓는다 하여 빙떡이라 불린다고 한다.
메밀과 무의 절묘한 조화를 이르는 빙떡의 유래를 찾아보니 고려시대 삼별초의 항쟁 때 삼별초를 도와준 제주도를 못 마땅하게 여겼던 원나라가 제주 사람들을 골탕 먹이기 위해 독성이 있고 다른 곡물에 비해 무기질 함량이 높아 소화가 잘 안되는 메밀을 전해 주었지만 제주의 선조들은 메밀을 가루로 내 여러 가지 소화 효소가 풍부한 무와 함께 섞어서 '빙떡'이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음으로써 원나라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고 한다. 벼농사가 잘 안되고 밭농사 위주로 먹을 것 없이 가난하게 살았던 제주 사람들의 지혜가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피를 맑게 해주는 데는 최고이며 단백질, 비타민 C, E가 풍부한 메밀의 맛과 무의 맛을 고스란히 살린 찰떡궁합 음식인 빙떡, 담백한 맛과 무숙채의 삼삼하고 무어라 단정할 수 없는 야릇한 맛을 가지고 있다.
달지도, 쫀득하지도, 화려하지도 않는 수수하고 소박하고 고소하며 약간은 싱거우면서도 어떤 것과 비유할 수 없는 깊은 맛이 살아나는 빙떡은 제주의 전통음식으로 오래전부터 제주의 관혼상제 때 널리 이용되어온 음식이며 경조사는 물론 명절과 제사의 단골 음식이다.
특이하게도 제주 사람들은 빙떡에 옥돔구이를 같이 먹곤 한다. 심심한 메밀 빙떡과 함께 짭조름한 옥돔구이(솔라니구이)를 귀한 손님상에도 내놓을 정도로 궁합이 잘 맞는 음식이며 맛 또한 일품이다. 이렇게 먹다보면 밭일과 바닷 일에 지친 몸을 녹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잃었던 기력도 회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빙떡은 아직까지도 변함없이 사랑을 받고 있는 제주의 웰빙 음식이다.
이번 설 명절에는 빙떡과 옥돔구이 함께 먹어보자. 설날에는 칼로리가 높은 음식들이 많은지라 자칫 소화불량을 호소 할 수가 있다. 메밀과 무는 환상의 궁합으로 빙떡을 만들어서 먹으면 소화가 잘 되므로 부담 없이 먹을 수 있고 열량이 낮고 포만감을 오래 유지해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아주 좋은 음식이다.
재료 = 메밀가루 5컵, 물 8컵, 무 800g, 소금, 다진 파, 깨소금
만드는 법 = 1. 가늘게 흘러 내릴 정도로 메밀가루에 미지근한 물을 섞어 반죽한다.
2. 무는 채 썰어서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뺀다.
3. 물기를 뺀채 다진 파, 소금, 깨소금으로 무소를 만든다.
4. 달군팬에 참기름을 두르고 메밀반죽을 국자로 떠서 빙빙 돌리면서 얇고 넓게 지져낸다.
5. 지져낸 메밀전을 잠시 식힌 뒤 무소를 올려 빙빙 말아 낸 후 무소가 나오지 않게 양쪽끝을 꼭 눌러 준다.
빙떡을 지질 때 감귤이 옆에 있으면 접착성이 떨어져 빙떡의 전병이 찢어지기 쉽다.
기사 목록
Copyright © 2018 한라일보. All Rights Reserve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