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대상 담아낸 탁월한 기록물” 4·3기록물이 갖는 의의
입력 : 2025. 11. 14(금) 18:00수정 : 2025. 11. 14(금) 18:03
양유리 기자 glassy38@ihalla.com
제주4·3평화재단,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 개최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시작… 활용방안 고심해야”
13~14일 제주썬호텔에서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한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이 열렸다.
[한라일보] “이 기록물들은 한국의 탈식민 이행기 속에서 억눌렸던 기억을 보존하며, 오랜 시간 동안 공산주의와 연관돼 낙인을 견뎌야 했던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조명한다. (중략) 이 아카이브는 화해와 회복을 이루기 위한 지역 공동체의 풀뿌리 민주주의적 실천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4·3기록물이 갖는 세계적 가치에 대한 서술한 유네스코(UNESCO) 본부의 설명이다.

올해 4월 1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며 인류사적 기록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제주4·3기록물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한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이 13~14일 제주썬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제주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4·3의 세계화’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4·3기록물은 총 1만4673건으로 ▷군법회의 수형인명부와 옥중 엽서(27건) ▷희생자와 유족들의 증언(1만4601건) ▷시민사회의 진상규명 운동 기록(42건)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3건) 등이 포함됐다.

이날 김귀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위원회 의장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의 등재 의미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의장은 “등재는 끝이 아닌 시작”이라며 4·3기록물의 활용 방안과 인식 제고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 의장은 “세계기록유산의 정식 명칭은 Memory of the World, 세계의 기억 사업”이라며 “인류는 기록을 통해 문명을 발전시켜왔고, 그중에서도 후세에 반드시 물려줘야 할 인류사적인 기록들을 선별하는 것이 세계기록유산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14일 열린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에서 김귀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위원회 의장이 발표하고 있다.
이어 “4·3기록물은 냉전이라는 당시의 시대상을 압축적으로 녹여낸 중요한 기록물”이라며 “특히 관이 아니라 민에서부터 진상규명을 시작해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정부의 공식 조사와 사과까지 이끌어낸 희귀한 모범 사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세계기록유산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이 보유한 기록 강국으로, 20점을 보유해 중국과 일본보다도 많다”며 “하지만 등재 이후 잘 보존하고 활용하는가에 대해선 의구심이 남는다”고 했다.

김 의장은 “세계유산 또는 무형유산에 비해 기록유산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그 가치에 대해 사람들이 잘 모른다”면서 “4·3기록물의 기록유산 등재를 시작으로 기록유산이 현재에 우리에게 갖는 가치와 의미에 대해서 알리고 교육 프로그램 등도 활발히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향후 과제로는 ▷적절한 보조환경 조성과 접근성 강화 ▷제주4·3 전용 박물관 설립 ▷관련 공간·전통문화 보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방법 연구 및 지원전략 수립 ▷전통과 사상의 현대적 계승 ▷전문인력 양성 ▷국제파트너십 강화 등을 제언했다.

한편 포럼 1일 차에는 1999년 4·3수형인명부를 최초로 공개했던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의 기조 강연이 진행됐다.

2일 차에는 ‘기억의 전승, 기록의 세계화’를 주제로 프랑스·폴란드 등의 국가폭력 기억 사업을 소개하고, ‘대중화의 길,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에서는 과거사를 현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한라일보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9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사회 주요기사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