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愛 빠지다]건축카페 유토피아 대표 이선영씨
입력 : 2014. 10. 24(금) 00:00
최태경 기자 tkchoi@ihalla.com
가가

건축카페 유토피아 '섶섬이 보이는'의 이선영 대표. 최태경기자
"문화예술과 건축 조합으로 새 삶"
공연·전시공간 등으로 활용
잠시 휴식차 제주에 왔다가
제주만의 힐링 매력에 빠져
요즘 어디를 가나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있다. 자연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바로 커피숍과 카페 이야기다.
자신이 운영하는 카페에서 낮 시간 커피 한잔의 여유를 만끽하는 것. 누구나 한번쯤 꿈 꿀 만한 로망이 됐다.
하지만 사업적으로 접근하면 다른 이야기가 된다. 수지타산이 맞아야 한다. 가게가 망하지 않도록 손님은 많아야 하고, 그에 따른 수익도 나야 한다. 경영을 해야 하니 꿈 이야기는 접어두게 된다.
건축카페 유토피아 '섶섬이 보이는'의 이선영(42) 대표는 일반적인 운영자들과 달리 특별한 목적으로 카페를 운영하는 사람 중의 하나다.
3년전 제주에 정착한 이선영씨. '건축카페 유토피아'라는 종합건설회사를 운영하는 대표이기도 한 그녀가 카페를 운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가 건축일, 즉 시행 관련 일을 하는데 주 업무가 사람들을 만나는 일이에요. 커피숍 등에서 사람들과 미팅을 하는 일이 잦은데, 제주에서 사업을 하면서 아예 카페를 차리게 된 거죠. 그 카페 안에 저희 사무실도 있고, 이름도 고민에 고민을 하다 아주 단순하게 '건축카페'라고 내걸었죠. 카페운영이 사업에 많은 도움이 돼요. 우리가 꾸미고, 우리가 만든 공간에서 앞으로 작업할 것에 대해 이야기 하면 훨씬 잘 소통이 이뤄지죠."
지금 서귀포시 칠십리로에 있는 건축카페 1호점 '섶섬이 보이는'에는 1,2층 모두 카페이면서 2층 한 켠에 건축사무실이 들어서 있다. 지금 서귀포 시내에 건축카페 2호점이 운영중이고, 갤러리 형식의 3호점이 오픈을 준비중이라고 한다.
그녀는 특히 사업과 연계해 활용하는 공간과는 별도로 카페운영 이유가 하나 더 있다고 말한다.
"지금도 제주에 카페가 너무 많은데, 제주에 정착하려는 이들 중 상당수가 카페나 게스트하우스를 많이 생각해요. 그런데 사업으로 접근했을 때 어떤 파장이 있는지 잘 모르고 있죠. 해보질 않았으니까요. 저희 카페 공간이 그런 친구들이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활용됐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어요."
원래 건축일을 해오던 그녀는 3년 전 잠시 휴식의 시간을 갖기 위해 제주를 찾았다가 아예 제주에 정착하게 됐다. 어떤 매력 때문이었을까.
"사람 사는 것은 서울이나 제주나 다 대동소이 하다고 생각해요. 먹고 살 걱정하면서 일 때문에, 사람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다 똑같죠. 그런데 서울에서는 가까운 거리에서 지지고 복고 스트레스를 풀 시간과 여유가 없다고 한다면, 제주에서는 풀면서 갈 수 있는 것이 달라요."
건축카페 '섶섬이 보이는' 앞에는 카페 이름처럼 섶섬과 서귀포 바다가 한눈에 펼쳐져 있었다. 바로 앞 잔디밭에서는 어린 아이가 뛰놀고 있었다. 그녀의 말처럼 보기만 해도 스트레스가 풀리는 듯했다.
2년전쯤 주민등록을 해 제주도민이 됐다는 그녀가 꿈꾸는 제주에서의 삶을 들어봤다.
"큰 그림에서는 건축일을 계속할 겁니다. 그리고 건축에 문화예술을 접목시킬 생각을 하고 있어요.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저희 카페에서 공연과 전시같은 것을 할 수 있고, 또 그 분들의 문화예술적인 영감을 저희 건축에 반영한다든지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죠."
공연·전시공간 등으로 활용
잠시 휴식차 제주에 왔다가
제주만의 힐링 매력에 빠져
요즘 어디를 가나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있다. 자연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바로 커피숍과 카페 이야기다.
하지만 사업적으로 접근하면 다른 이야기가 된다. 수지타산이 맞아야 한다. 가게가 망하지 않도록 손님은 많아야 하고, 그에 따른 수익도 나야 한다. 경영을 해야 하니 꿈 이야기는 접어두게 된다.
건축카페 유토피아 '섶섬이 보이는'의 이선영(42) 대표는 일반적인 운영자들과 달리 특별한 목적으로 카페를 운영하는 사람 중의 하나다.
3년전 제주에 정착한 이선영씨. '건축카페 유토피아'라는 종합건설회사를 운영하는 대표이기도 한 그녀가 카페를 운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가 건축일, 즉 시행 관련 일을 하는데 주 업무가 사람들을 만나는 일이에요. 커피숍 등에서 사람들과 미팅을 하는 일이 잦은데, 제주에서 사업을 하면서 아예 카페를 차리게 된 거죠. 그 카페 안에 저희 사무실도 있고, 이름도 고민에 고민을 하다 아주 단순하게 '건축카페'라고 내걸었죠. 카페운영이 사업에 많은 도움이 돼요. 우리가 꾸미고, 우리가 만든 공간에서 앞으로 작업할 것에 대해 이야기 하면 훨씬 잘 소통이 이뤄지죠."
지금 서귀포시 칠십리로에 있는 건축카페 1호점 '섶섬이 보이는'에는 1,2층 모두 카페이면서 2층 한 켠에 건축사무실이 들어서 있다. 지금 서귀포 시내에 건축카페 2호점이 운영중이고, 갤러리 형식의 3호점이 오픈을 준비중이라고 한다.
그녀는 특히 사업과 연계해 활용하는 공간과는 별도로 카페운영 이유가 하나 더 있다고 말한다.
"지금도 제주에 카페가 너무 많은데, 제주에 정착하려는 이들 중 상당수가 카페나 게스트하우스를 많이 생각해요. 그런데 사업으로 접근했을 때 어떤 파장이 있는지 잘 모르고 있죠. 해보질 않았으니까요. 저희 카페 공간이 그런 친구들이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활용됐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어요."
원래 건축일을 해오던 그녀는 3년 전 잠시 휴식의 시간을 갖기 위해 제주를 찾았다가 아예 제주에 정착하게 됐다. 어떤 매력 때문이었을까.
"사람 사는 것은 서울이나 제주나 다 대동소이 하다고 생각해요. 먹고 살 걱정하면서 일 때문에, 사람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다 똑같죠. 그런데 서울에서는 가까운 거리에서 지지고 복고 스트레스를 풀 시간과 여유가 없다고 한다면, 제주에서는 풀면서 갈 수 있는 것이 달라요."
건축카페 '섶섬이 보이는' 앞에는 카페 이름처럼 섶섬과 서귀포 바다가 한눈에 펼쳐져 있었다. 바로 앞 잔디밭에서는 어린 아이가 뛰놀고 있었다. 그녀의 말처럼 보기만 해도 스트레스가 풀리는 듯했다.
2년전쯤 주민등록을 해 제주도민이 됐다는 그녀가 꿈꾸는 제주에서의 삶을 들어봤다.
"큰 그림에서는 건축일을 계속할 겁니다. 그리고 건축에 문화예술을 접목시킬 생각을 하고 있어요.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저희 카페에서 공연과 전시같은 것을 할 수 있고, 또 그 분들의 문화예술적인 영감을 저희 건축에 반영한다든지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죠."